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MN25) 사슴이 사냥꾼을 피하는 방법
    적당한 길이의 담론 2023. 3. 27. 23:38

     

     

    Nivāpasutta (니와빠숫따)

    원문을 보시려면 여기를 방문바랍니다. https://suttacentral.net/mn25/en/sujato

    Middle Discourses 25

    중간 담론 25

    Fodder

    먹이

    So I have heard. At one time the Buddha was staying near Sāvatthī in Jeta’s Grove, Anāthapiṇḍika’s monastery. There the Buddha addressed the mendicants, “Mendicants!”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부처님은 사-왓티-(Sāvatthī) 근처 제타(Jeta)의 숲에 있는 아나-타삔띠까(Anāthapiṇḍika)의 수도원에 머물고 있었다. 그곳에서 부처님이 수행자들을 불렀다. "수행자 여러분!"

    “Venerable sir,” they replied. The Buddha said this:

    "존경받아 마땅한 스승님," 그들이 대답했다. 부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다:

    “Mendicants, a trapper doesn’t cast bait for deer thinking, ‘May the deer, enjoying this bait, be healthy and in good condition. May they live long and prosper!’ A trapper casts bait for deer thinking, ‘When these deer intrude on where I cast the bait, they’ll recklessly enjoy eating it. They’ll become indulgent, then they’ll become negligent, and then I’ll be able to do what I want with them on account of this bait.’

    "수행자 여러분, 덫을 놓는 사냥꾼은 사슴을 위해 이렇게 생각하면서 미끼를 던지지 않습니다, '이 미끼를 먹은 사슴이 건강하고 좋은 상태가 되기를. 사슴들이 장수하고 번영하기를!' 덫을 놓는 사냥꾼은 사슴을 위해 이렇게 생각하면서 미끼를 던집니다, '이 사슴들이 내가 미끼를 던진 곳을 들어오면, 신중하지 못하고 미끼를 먹는 것을 즐기게 될 것이다. 그들은 마음껏 즐기게 되고, 그러다가 부주의해질 것이고, 그러면 내가 이 미끼로 사슴 잡기를 원하는 대로 할 수 있을 것이다.'

    And indeed, the first herd of deer intruded on where the trapper cast the bait and recklessly enjoyed eating it. They became indulgent, then they became negligent, and then the trapper was able to do what he wanted with them on account of that bait. And that’s how the first herd of deer failed to get free from the trapper’s power.

    그리고 실제로, 첫 번째 사슴 떼가 덫을 놓는 사냥꾼이 미끼를 던진 곳으로 들어와서 신중하지 못하고 미끼를 먹는 것을 즐겼습니다. 그들은 마음껏 즐기게 되고, 그러다가 부주의해졌고, 덫을 놓은 사냥꾼은 그 미끼로 사슴 잡기를 원하는 대로 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첫 번째 사슴 떼는 덫을 놓은 사냥꾼의 손아귀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So then a second herd of deer thought up a plan, ‘The first herd of deer became indulgent … and failed to get free of the trapper’s power. Why don’t we avoid eating the bait altogether? Avoiding dangerous food, we can venture deep into a wilderness region and live there.’ And that’s just what they did. But when it came to the last month of summer, the grass and water ran out. Their bodies became much too thin, and they lost their strength and energy. So they went back to that same place where the trapper had cast bait. Intruding on that place, they recklessly enjoyed eating it … And that’s how the second herd failed to get free from the trapper’s power.

    그래서 두 번째 사슴 떼는 꾀를 내었습니다, '첫 번째 사슴 떼는 마음껏 즐기게 되었고 … 덫을 놓은 사냥꾼의 손아귀에서 벗어나지 못했어. 우리 모두 미끼를 아예 먹지 않는 게 어떨까? 위험한 음식을 피해서, 우리는 숲속 황무지 깊숙한 곳으로 위험을 무릎쓰고 들어가서 그곳에서 살 수 있어.' 그리고 그것이 바로 그들이 한 일입니다. 그러나 여름의 마지막 달이 되자, 풀과 물이 다 떨어졌습니다. 그들의 몸은 너무 야위었고 힘과 에너지를 잃었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덫을 놓는 사냥꾼이 미끼를 던졌던 바로 그 곳으로 돌아갔습니다. 그 곳으로 들어가서 신중하지 못하고 미끼를 먹는 것을 즐겼습니다 … 그렇게 두 번째 무리는 덫을 놓은 사냥꾼의 손아귀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So then a third herd of deer thought up a plan, ‘The first … and second herds of deer … failed to get free of the trapper’s power. Why don’t we set up our lair close by the place where the trapper has cast the bait? Then we can intrude on it and enjoy eating without being reckless. We won’t become indulgent, then we won’t become negligent, and then the trapper won’t be able to do what he wants with us on account of that bait.’ And that’s just what they did.

    그러고 나서 세 번째 사슴 떼가 꾀를 내었습니다, '첫 번째 … 두 번째 사슴 떼는 … 덫을 놓는 사냥꾼의 손아귀에서 벗어나지 못했어. 덫을 놓는 사냥꾼이 미끼를 던진 곳 근처에 우리 은신처를 정하는게 어떨까? 그러면 우리는 그것으로 들어가서 신중하게 먹는 것을 즐길 수 있을꺼야. 우리는 마음껏 즐기지 않고, 부주의해지지 않을 것이고, 그러면 덫을 놓은 사냥꾼은 그 미끼로 우리를 잡고 싶지만 그럴 수 없을꺼야.' 그리고 그것이 바로 그들이 한 일입니다.

    So the trapper and his companions thought, ‘Wow, this third herd of deer is so sneaky and devious, they must be some kind of unnatural spirits with psychic power! For they eat the bait we’ve cast without us knowing how they come and go. Why don’t we surround the bait on all sides by staking out high nets? Hopefully we might get to see their lair, where they go to hide out.’ And that’s just what they did. And they saw where the third herd of deer had their lair, where they went to hide out. And that’s how the third herd failed to get free from the trapper’s power.

    그래서 덫을 놓는 사냥꾼과 그의 동료들은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우와, 이 세 번째 사슴 떼는 너무 교활하고 사악하네, 그들은 정신적인 힘을 가진 일종의 부자연스러운 정령이 틀림없어! 그들이 어떻게 오고 가는지 우리는 알지도 못한 채, 우리가 던진 미끼를 먹다니. 미끼를 둘러싸고 주변에 높은 그물을 치고 잠복하면 어떨까? 그들의 은신처를 찾을거나 숨는 곳을 찾을지도 몰라.' 그리고 그것이 바로 그들이 한 일입니다. 그리고 그들은 세 번째 사슴 떼의 은신처가 있는 곳, 그들이 숨는 곳을 찾았습니다. 그래서 세 번째 무리는 덫을 놓는 사냥꾼의 손아귀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So then a fourth herd of deer thought up a plan, ‘The first … second … and third herds of deer … failed to get free of the trapper’s power. Why don’t we set up our lair somewhere the trapper and his companions can’t go? Then we can intrude on where the trapper has cast the bait and enjoy eating it without being reckless. We won’t become indulgent, then we won’t become negligent, and then the trapper won’t be able to do with them what he wants on account of that bait.’ And that’s just what they did.

    그러고 나서 네 번째 사슴 떼가 꾀를 내었습니다, '첫 번째 … 두 번째 … 그리고 세 번째 사슴 떼는 … 덫을 놓는 사냥꾼의 손아귀에서 벗어나지 못했어. 덫을 놓는 사냥꾼과 그의 동료들이 갈 수 없는 곳에 우리 은신처를 정하는게 어떨까? 그러면 우리는 덫을 놓는 사냥꾼이 미끼를 던진 곳에 들어가서 신중하게 먹는 것을 즐길 수 있을꺼야. 우리는 마음껏 즐기지 않고, 부주의해지지 않을 것이고, 그러면 덫을 놓은 사냥꾼은 그 미끼로 우리를 잡고 싶지만 그럴 수 없을꺼야.' 그리고 그것이 바로 그들이 한 일입니다.

    So the trapper and his companions thought, ‘Wow, this fourth herd of deer is so sneaky and devious, they must be some kind of unnatural spirits with psychic power! For they eat the bait we’ve cast without us knowing how they come and go. Why don’t we surround the bait on all sides by staking out high nets? Hopefully we might get to see their lair, where they go to hide out.’ And that’s just what they did. But they couldn’t see where the fourth herd of deer had their lair, where they went to hide out. So the trapper and his companions thought, ‘If we disturb this fourth herd of deer, they’ll disturb others, who in turn will disturb even more. Then all of the deer will be free from this bait we’ve cast. Why don’t we just keep an eye on that fourth herd?’ And that’s just what they did. And that’s how the fourth herd of deer got free from the trapper’s power.

    그래서 덯을 놓는 사냥꾼과 그의 동료들은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우와, 이 네 번째 사슴 떼는 너무 교활하고 사악하네, 그들은 정신적인 힘을 가진 일종의 부자연스러운 정령이 틀림없어! 그들이 어떻게 오고 가는지 우리는 알지도 못한 채, 우리가 던진 미끼를 먹다니. 미끼를 둘러싸고 주변에 높은 그물을 치고 잠복하면 어떨까? 그들의 은신처를 찾을거나 숨는 곳을 찾을지도 몰라.' 그리고 그것이 바로 그들이 한 일입니다. 하지만 그들은 네 번째 사슴 떼의 은신처와 그들이 숨으러 가는 곳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덫을 놓는 사냥꾼과 그의 동료들은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만약 우리가 이 네 번째 사슴 떼를 불안하게 하면, 이 사슴들이 다른 사슴들을 불안하게 할 것이고, 그러면 그 다음 차례는 더 많이 불안해 할꺼야. 그러면 모든 사슴이 우리가 던진 이 미끼에서 벗어날꺼야. 우리가 네 번째 사슴 떼를 그냥 지켜보는 게 어떨까?' 그리고 그것이 바로 그들이 한 일입니다. 이렇게 네 번째 사슴 떼는 덫을 놓는 사냥꾼의 손아귀에서 벗어났습니다.

    I’ve made up this simile to make a point. And this is what it means.

    나는 요점을 말하기 위해 이 비유를 지어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의미하는 바입니다.

    ‘Bait’ is a term for the five kinds of sensual stimulation.

    '미끼'는 5 가지 감각 자극을 일컫는 말입니다.

    ‘Trapper’ is a term for Māra the Wicked.

    '덫을 놓은 사냥꾼'은 사악한 마라(Māra, 악마)를 일컫는 말입니다.

    ‘Trapper’s companions’ is a term for Māra’s assembly.

    '덯을 놓은 사냥군의 동료들'은 마라(Māra, 악마)의 무리를 일컫는 말입니다.

    ‘Deer’ is a term for ascetics and brahmins.

    '사슴'은 고행자와 브라만을 일컫는 말입니다.

    Now, the first group of ascetics and brahmins intruded on where the bait and the material delights of the world were cast by Māra and recklessly enjoyed eating it. They became indulgent, then they became negligent, and then Māra was able to do what he wanted with them on account of that bait and the material delights of the world. And that’s how the first group of ascetics and brahmins failed to get free from Māra’s power. This first group of ascetics and brahmins is just like the first herd of deer, I say.

    이제, 첫 번째 고행자와 브라만 무리는 마라(Māra, 악마)가 미끼이면서 세상의 물질적 큰 기쁨을 던진 곳에 들어와서 신중하지 못하고 그것을 먹었습니다. 그들은 마음껏 즐기게 되고, 그러다가 부주의해졌고, 마라(Māra, 악마)는 그 미끼이면서 세상의 물질적 큰 기쁨으로 그들을 잡고 원하는 대로 할 수 있었습니다. 이것이 첫 번째 고행자와 브라만 무리가 마라(Māra, 악마)의 손아귀에서 벗어나지 못한 이유입니다. 이 첫 번째 고행자와 브라만 무리는 첫 번째 사슴 떼와 같다고, 나는 말합니다.

    So then a second group of ascetics and brahmins thought up a plan, ‘The first group of ascetics and brahmins became indulgent … and failed to get free of Māra’s power. Why don’t we avoid eating the bait and the world’s material delights altogether? Avoiding dangerous food, we can venture deep into a wilderness region and live there.’ And that’s just what they did. They ate herbs, millet, wild rice, poor rice, water lettuce, rice bran, scum from boiling rice, sesame flour, grass, or cow dung. They survived on forest roots and fruits, or eating fallen fruit.

    그래서 두 번째 고행자와 바라문 무리는 꾀를 내었습니다. '첫 번째 고행자와 브라만 무리는 마음껏 즐기게 되었고 … 마라(Māra, 악마)의 손아귀에서 벗어나지 못했어. 우리 모두 미끼이면서 세상의 물질적 큰 기쁨을 아예 먹지 않는게 어떨까? 위험한 음식을 피해서, 우리는 숲속 황무지 깊숙한 곳으로 위험을 무릎쓰고 들어가서 그곳에서 살 수 있어.' 그리고 그것이 바로 그들이 한 일입니다. 그들은 약초, 수수, 들벼, 맛없는 쌀, 미나리, 쌀겨, 쌀밥 찌꺼기, 깨가루, 풀이나 소똥을 먹었습니다. 그들은 숲에서 뿌리와 과일, 또는 떨어진 과일을 먹으면서 살았습니다.

    But when it came to the last month of summer, the grass and water ran out. Their bodies became much too thin, and they lost their strength and energy. Because of this, they lost their heart’s release, so they went back to that same place where Māra had cast the bait and the material delights of the world. Intruding on that place, they recklessly enjoyed eating them … And that’s how the second group of ascetics and brahmins failed to get free from Māra’s power. This second group of ascetics and brahmins is just like the second herd of deer, I say.

    그러나 여름의 마지막 달이 되자, 풀과 물이 다 떨어졌습니다. 그들의 몸은 너무 야위었고 힘과 에너지를 잃었습니다. 이 때문에 그들은 마음의 자유를 잃었고, 그래서 그들은 마라(Māra, 악마)가 던진 미끼이면서 세상의 물질적 큰 기쁨을 던진 바로 그 곳으로 돌아갔습니다. 그 곳으로 들어가서 신중하지 못하고 미끼를 먹는 것을 즐겼습니다 … 그렇게 두 번째 고행자와 브라만 무리는 마라(Māra, 악마)의 손아귀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이 두 번째 고행자와 브라만 무리는 두 번째 사슴 떼와 같다고, 나는 말합니다.

    So then a third group of ascetics and brahmins thought up a plan, ‘The first … and second groups of ascetics and brahmins … failed to get free of Māra’s power. Why don’t we set up our lair close by the place where Māra has cast the bait and those material delights of the world? Then we can intrude on it and enjoy eating without being reckless. We won’t become indulgent, then we won’t become negligent, and then Māra won’t be able to do what he wants with us on account of that bait and those material delights of the world.’

    그러고 나서 세 번째 고행자와 브라만 무리가 꾀를 내었습니다. '첫 번째 … 두 번째 고행자와 브라만의 무리는 … 마라(Māra, 악마)의 손아귀에서 벗어나지 못했어. 마라(Māra, 악마)가 던진 미끼이면서 세상의 물질적 큰 기쁨이 있는 곳 근처에 우리 은신처를 정하는게 어떨까? 그러면 우리는 그것으로 들어가서 신중하게 먹는 것을 즐길 수 있을꺼야. 우리는 마음껏 즐기지 않고, 부주의해지지 않을 것이고, 그러면 마라(Māra, 악마)는 그 미끼이면서 세상의 물질적 큰 기쁨으로 우리를 잡고 싶지만 그럴 수 없을꺼야.'

    And that’s just what they did. Still, they had such views as these: ‘The cosmos is eternal’ or ‘The cosmos is not eternal’; ‘The world is finite’ or ‘The world is infinite’; ‘The soul and the body are the same thing’ or ‘The soul and the body are different things’; or that after death, a Realized One exists, or doesn’t exist, or both exists and doesn’t exist, or neither exists nor doesn’t exist. And that’s how the third group of ascetics and brahmins failed to get free from Māra’s power. This third group of ascetics and brahmins is just like the third herd of deer, I say.

    그리고 그것이 바로 그들이 한 일입니다. 여전히 그들은 다음과 같은 견해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우주는 영원하다' 또는 '우주는 영원하지 않다'; '세계는 유한하다' 또는 '세계는 무한하다'; '영혼과 육체는 같은 것이다' 또는 '영혼과 육체는 다른 것이다'; 또는 사후에 깨달은 사람이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하는 동시에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하지도 않고 존재하지 않지도 않는다. 그렇게 세 번째 고행자와 브라만 무리는 마라(Māra, 악마)의 손아귀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이 세 번째 고행자와 브라만 무리는 세 번째 사슴 떼와 같다고, 나는 말합니다.

    So then a fourth group of ascetics and brahmins thought up a plan, ‘The first … second … and third groups of ascetics and brahmins … failed to get free of Māra’s power. Why don’t we set up our lair somewhere Māra and his assembly can’t go? Then we can intrude on where Māra has cast the bait and those material delights of the world, and enjoy eating without being reckless. We won’t become indulgent, then we won’t become negligent, and then Māra won’t be able to do what he wants with us on account of that bait and those material delights of the world.’

    그러고 나서 네 번째 고행자와 브라만 무리가 꾀를 내었습니다, '첫 번째 … 두 번째 … 그리고 세 번째 고행자와 브라만 무리는 … 마라(Māra, 악마)의 손아귀에서 벗어나지 못했어. 마라(Māra, 악마)와 그의 무리가 갈 수 없는 곳에 우리 은신처를 정하는게 어떨까? 그러면 우리는 마라(Māra, 악마)가 던진 미끼이면서 세상의 물질적 큰 기쁨에 들어가서 신중하게 먹는 것을 즐길 수 있을꺼야. 우리는 마음껏 즐기지 않고, 부주의해지지 않을 것이고, 그러면 마라(Māra, 악마)는 그 미끼이면서 세상의 물질적 큰 기쁨으로 우리를 잡고 싶지만 그럴 수 없을꺼야.'

    And that’s just what they did. And that’s how the fourth group of ascetics and brahmins got free from Māra’s power. This fourth group of ascetics and brahmins is just like the fourth herd of deer, I say.

    그리고 그것이 바로 그들이 한 일입니다. 그렇게 네 번째 고행자와 브라만 무리는 마라(Māra, 악마)의 손아귀에서 벗어났습니다. 이 네 번째 고행자와 브라만 무리는 네 번째 사슴 떼와 같다고, 나는 말합니다.

    And where is it that Māra and his assembly can’t go? It’s when a mendicant, quite secluded from sensual pleasures, secluded from unskillful qualities, enters and remains in the first absorption, which has the rapture and bliss born of seclusion, while placing the mind and keeping it connected. This is called a mendicant who has blinded Māra, put out his eyes without a trace, and gone where the Wicked One cannot see.

    그러면 마라(Māra, 악마)와 그의 무리가 갈 수 없는 곳은 어디겠습니까? 그것은 수행자는 일어난 생각이 있고, (생각을) 조사하는 동안, 육체적 감각의 즐거움으로부터 완전히 떨어지게 하고, 미숙한 성품으로부터 완전히 떨어지게 하고, 첫번째 몰두(absorption : 누군가 어떤 것에 매우 관심이 있어서 모든 주의를 기울이게 되는 것)에 들어가 머물게 될 때이며, 그곳은 (즐거움과 미숙한 성품으로부터) 떨어짐에서 태어난 황홀감(rapture : 극도의 즐거움과 행복감)과 더없는 기쁨이 있습니다. 이를 가리켜 마라(Māra, 악마)의 눈을 멀게 한, 흔적도 없이 눈을 빼서, 사악한 자가 보지 못하는 곳으로 간 수행자라고 합니다.

    Furthermore, as the placing of the mind and keeping it connected are stilled, a mendicant enters and remains in the second absorption, which has the rapture and bliss born of immersion, with internal clarity and confidence, and unified mind, without placing the mind and keeping it connected. This is called a mendicant who has blinded Māra …

    더 나아가, 일어난 생각이 있고, (생각을) 조사하는 것이 잠잠해지면, 수행자는 두번째 몰두에 들어가 머물며, 그곳은 몰입(immersion : 어떤 일에 완전히 몰두한 상태)에서 생겨난 황홀감과 더없는 기쁨이 있는 곳으로, 일어난 생각이 없고 (생각을) 조사하는 것이 없이, 내적인 명료함과 확신, 그리고 통일된 마음은 함께 합니다. 이를 가리켜 마라(Māra, 악마)의 눈을 멀게 한 … 수행자라고 합니다.

    Furthermore, with the fading away of rapture, a mendicant enters and remains in the third absorption, where they meditate with equanimity, mindful and aware, personally experiencing the bliss of which the noble ones declare, ‘Equanimous and mindful, one meditates in bliss.’ This is called a mendicant who has blinded Māra …

    더 나아가, 황홀감이 서서히 사라짐이 함께 하고, 수행자는 세 번째 몰두에 들어가 머물며, 그곳에서 그들은 평정심(equanimity : 특히 어려운 상황에서도 화를 내거나 분개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차분한 마음 상태)과 현재 순간에 집중하고, 알아차림으로 명상하고, 고귀한 사람들이 '차분함과 현재 순간에 집중하여 더없는 기쁨 속에서 명상한다'고 선언한 더없는 기쁨을 개인적으로 경험합니다. 이를 가리켜 마라(Māra, 악마)의 눈을 멀게 한 … 수행자라고 합니다.

    Furthermore, giving up pleasure and pain, and ending former happiness and sadness, a mendicant enters and remains in the fourth absorption, without pleasure or pain, with pure equanimity and mindfulness. This is called a mendicant who has blinded Māra …

    더 나아가, 즐거움과 고통을 멈추고, 과거의 행복과 슬픔을 끝내고, 수행자가 네 번째 몰두에 들어가 머물게 될 때이며, 즐거움과 고통이 없고, 순수한 평정과 마음챙김이 함께 합니다. 이를 가리켜 마라(Māra, 악마)의 눈을 멀게 한 … 수행자라고 합니다.

    Furthermore, a mendicant, going totally beyond perceptions of form, with the ending of perceptions of impingement, not focusing on perceptions of diversity, aware that ‘space is infinite’, enters and remains in the dimension of infinite space. This is called a mendicant who has blinded Māra …

    더 나아가, 형태에 대한 지각을 완전히 넘어서서, (물리적) 충돌에 대한 지각의 끝냄을 가지고, 다양성에 대한 지각에만 집중하지 않고, '공간은 무한하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수행자는 무한한 공간의 차원에 들어가 머뭅니다. 이를 가리켜 마라(Māra, 악마)의 눈을 멀게 한 … 수행자라고 합니다.

    Furthermore, a mendicant, going totally beyond the dimension of infinite space, aware that ‘consciousness is infinite’, enters and remains in the dimension of infinite consciousness. This is called a mendicant who has blinded Māra …

    더 나아가, 수행자가 무한한 공간의 차원을 완전히 넘어서서, '의식은 무한하다'고 깨달아, 무한한 의식의 차원에 들어가 머뭅니다. 이를 가리켜 마라(Māra, 악마)의 눈을 멀게 한 … 수행자라고 합니다.

    Furthermore, a mendicant, going totally beyond the dimension of infinite consciousness, aware that ‘there is nothing at all’, enters and remains in the dimension of nothingness. This is called a mendicant who has blinded Māra …

    더 나아가, 수행자가 무한한 의식의 차원을 완전히 넘어서서, '전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깨달아, 없음(nothingness :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상황; 존재하지 않는 상태)의 차원에 들어가 머뭅니다. 이를 가리켜 마라(Māra, 악마)의 눈을 멀게 한 … 수행자라고 합니다.

    Furthermore, a mendicant, going totally beyond the dimension of nothingness, enters and remains in the dimension of neither perception nor non-perception. This is called a mendicant who has blinded Māra …

    더 나아가, 수행자가 없음의 차원을 완전히 넘어서서, 우리는 지각할 수도 없고 지각할 수 없는 것도 아닌 차원에 들어가 머뭅니다. 이를 가리켜 마라(Māra, 악마)의 눈을 멀게 한 … 수행자라고 합니다.

    Furthermore, a mendicant, going totally beyond the dimension of neither perception nor non-perception, enters and remains in the cessation of perception and feeling. And, having seen with wisdom, their defilements come to an end. This is called a mendicant who has blinded Māra, put out his eyes without a trace, and gone where the Wicked One cannot see. And they’ve crossed over clinging to the world.”

    더 나아가, 수행자가 지각할 수도 없고 지각할 수 없는 것도 아닌 차원을 완전히 넘어서서, 지각과 느낌의 멈춤에 들어가 머뭅니다. 그리고 지혜로 보았으므로, 그들의 더러운 것(번뇌)이 끝났습니다. 이를 가리켜 마라(Māra, 악마)의 눈을 멀게 한, 흔적도 없이 눈을 빼서, 악인이 보지 못하는 곳으로 간 수행자라고 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세상에 매달리는 것을 건너가게 되었습니다."

    That is what the Buddha said. Satisfied, the mendicants were happy with what the Buddha said.

    이것이 바로 부처님이 하신 말씀이다. 납득한, 수행자들은 부처님 말씀에 만족했다.

    부처님은 비유를 통해서 어려운 가르침을 알기 쉽게 설명하려 노력하셨다. 이번 수행자를 '사슴'에 비유하고, '사슴'을 잡으러 덫을 놓는 사냥꾼을 '마라(Māra, 악마)'로 비유하셨다.

     

    '미끼'는 눈, 귀, 코, 혀, 몸으로 5 가지 감각의 자극이므로, K-pop 가수들을 보고 즐거워하거나, 노래에 빠져 흥얼거리면서 즐기거나, 맛집을 찾아다니는 등 5 가지 감각에 자극을 주는 것이 바로 '미끼'를 열심히 먹고 즐기는 것이다.

     

    넋 놓고 마음대로 즐기다보면 '마라(Māra, 악마)'에게 잡혀 윤회의 굴레를 벗어날 수 없다. 그렇다고 5 가지 감각 자극을 절대로 해서는 안되는 것이 아니다. 재밌게도 네 번째 사슴 떼는 미끼를 안먹는게 아니라 신중하게 먹는 것을 즐긴다. '마라(Māra, 악마)'에게 잡히지만 않을 뿐, '미끼'를 먹는다.

     

    멋대로 즐기고, 부주의한게 아니라...정신을 차리고 주의깊게 '미끼'를 먹는 것이다. 그리고 설령 '마라(Māra, 악마)'가 잡으려고 쫓아와도, '마라(Māra, 악마)'와 그 무리가 갈 수 없는 곳으로 가면 그만이다. 갈 수 없는 곳은 경전을 더 요약할 필요도 없이 잘 정리가 되어 있으니, 다시 위의 경전을 읽어보시길...   

    아래 팔리어를 한글로 번역한 글과 번갈아 보면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MN025. 미끼경[Nivāpasuttaṃ]

    미끼 경 M25 Majjhima Nikàya I 3. 5. Nivàpasuttaü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에 세존께서는 ...

    blog.naver.com

     

    M25.

    Majjhima Nikāya mūlapaṇṇāsapāḷi 3. opammavaggo 5. nivāpasuttaṃ 미끼 경 Nivāpa Sutta(M...

    blog.naver.com

     

    승가제바(僧伽提婆)가 번역한 한역 "중아함경 엽사경" 역시 같은 내용으로 다음 링크에서 읽을 수 있다.

     

    부처님 말씀

    반야심경, 금강경, 법화경, 화엄경, 아함경의 주요 경전을 검색하실 수 있는 불경 검색 사이트입니다.

    www.wordofbuddha.co.kr

     

     

     

    728x90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