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N32) 당신은 어떤 종류의 수행자인가요?적당한 길이의 담론 2023. 5. 28. 12:43
Mahāgosiṅgasutta (마하-고싱가숫따)
원문을 보시려면 여기를 방문바랍니다. https://suttacentral.net/mn32/en/sujato
Middle Discourses 32
중간 담론 32
The Longer Discourse at Gosiṅga
고싱가(Gosiṅga)에서 있었던 긴 담론
So I have heard. At one time the Buddha was staying in the sal forest park at Gosiṅga, together with several well-known senior disciples, such as the venerables Sāriputta, Mahāmoggallāna, Mahākassapa, Anuruddha, Revata, Ānanda, and others.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부처님은 덕망있는 사-리뿟따(Sāriputta), 마하-목갈라-나(Mahāmoggallāna), 마하-깟사빠(Mahākassapa), 아누룻다(Anuruddha), 레와따(Revata), 아-난다(Ānanda) 와 같은 유명한 선임 제자들과 함께 고싱가(Gosiṅga)의 사라수 숲(sal forest) 공원에 머물고 있었다.
Then in the late afternoon, Venerable Mahāmoggallāna came out of retreat, went to Venerable Mahākassapa, and said, “Come, Reverend Kassapa, let’s go to Venerable Sāriputta to hear the teaching.”
그 당시 늦은 오후에, 덕망있는 마하-목갈라-나(Mahāmoggallāna)가 수행에서 나와, 덕망있는 마하-깟사빠(Mahākassapa)에게 가서 말했다, "자, 존경받는 깟사빠(Kassapa), 덕망있는 사-리뿟따(Sāriputta)에게 가르침을 들으러 갑시다."
“Yes, reverend,” Mahākassapa replied. Then, together with Venerable Anuruddha, they went to Sāriputta to hear the teaching.
"네, 존경하는 분," 마하-깟사빠(Mahākassapa)가 대답했다. 그러고 나서 그들은 덕망있는 아누룻다(Anuruddha)와 함께, 가르침을 듣기 위해 사-리뿟따(Sāriputta)에게 갔다.
Seeing them, Venerable Ānanda went to Venerable Revata, told him what was happening, and invited him also.
그들을 본, 덕망있는 아-난다(Ānanda)는 덕망있는 레와따(Revata)에게 가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말하고, 그를 초대했다.
Sāriputta saw them coming off in the distance and said to Ānanda, “Come, Venerable Ānanda. Welcome to Ānanda, the Buddha’s attendant, who is so close to the Buddha. Ānanda, the sal forest park at Gosiṅga is lovely, the night is bright, the sal trees are in full blossom, and divine scents seem to float on the air. What kind of mendicant would beautify this park?”
사-리뿟따(Sāriputta)는 그들이 멀리서 오는 것을 보고 아-난다(Ānanda)에게 말했다, "자, 덕망있는 아-난다(Ānanda). 부처님과 아주 가까이에서 부처님을 수행하는 아-난다(Ānanda)가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아-난다(Ānanda), 고싱가(Gosiṅga)의 사라수 숲(sal forest) 공원은 사랑스럽고, 밤은 밝고, 사라수 나무는 만개해 있고, 신성한 향기가 공중에 떠 있는 것 같습니다. 어떤 종류의 수행자가 이 공원을 아름답게 할 수 있을까요?"
“Reverend Sāriputta, it’s a mendicant who is very learned, remembering and keeping what they’ve learned. These teachings are good in the beginning, good in the middle, and good in the end, meaningful and well-phrased, describing a spiritual practice that’s entirely full and pure. They are very learned in such teachings, remembering them, reinforcing them by recitation, mentally scrutinizing them, and comprehending them theoretically. And they teach the four assemblies in order to uproot the underlying tendencies with well-rounded and systematic words and phrases. That’s the kind of mendicant who would beautify this park.”
"존경받는 사-리뿟따(Sāriputta), 그건 배운 것을 잘 기억하고 간직하는 매우 학식 있는 수행자입니다. 이 가르침은 처음도 좋고, 중간도 좋고, 끝도 좋고, 의미 있고 잘 표현되어 있으며, 완전히 충만하고 순수한 영적인 수행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 수행자는 이러한 가르침을 매우 잘 배워서, 기억하고, 암송함으로써 기억을 강화하고, 정신적으로 면밀히 조사하고, 이론적으로 이해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균형 잡힌 체계적인 단어와 구절로 근본적인 경향을 뿌리 뽑기 위해 4 가지 무리들을 가르칩니다. 그것이 바로 이 공원을 아름답게 할 수 있는 수행자의 종류입니다."
When he had spoken, Sāriputta said to Revata, “Reverend Revata, Ānanda has answered by speaking from his heart. And now we ask you the same question.”
그가 말을 마치자, 사-리뿟따(Sāriputta)는 레와따(Revata)에게 말했다, "존경받는 레와따(Revata), 아-난다(Ānanda)는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말로 대답했습니다. 이제 우리는 같은 질문을 당신에게 드립니다."
“Reverend Sāriputta, it’s a mendicant who enjoys retreat and loves retreat. They’re committed to inner serenity of the heart, they don’t neglect absorption, they’re endowed with discernment, and they frequent empty huts. That’s the kind of mendicant who would beautify this park.”
"존경받는 사-리뿟따(Sāriputta), 그건 수행을 좋아하고 수행을 사랑하는 수행자입니다. 그들은 마음 내면의 평온에 전념하고, 몰두(absorption : 누군가 어떤 것에 매우 관심이 있어서 모든 주의를 기울이게 되는 것)를 소홀히 하지 않으며, 분별력(discernment : 누군가, 무언가의 자질에 대해 좋은 판단력을 보여주는 능력)을 부여 받았고, 빈 오두막을 자주 방문합니다. 그것이 바로 이 공원을 아름답게 할 수 있는 수행자의 종류입니다."
When he had spoken, Sāriputta said to Anuruddha, “Reverend Anuruddha, Revata has answered by speaking from his heart. And now we ask you the same question.”
그가 말을 마치자, 사-리뿟따(Sāriputta)는 아누룻다(Anuruddha)에게 말했다, "존경받는 아누룻다(Anuruddha), 레와따(Revata)는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말로 대답했습니다. 이제 우리는 같은 질문을 당신에게 드립니다."
“Reverend Sāriputta, it’s a mendicant who surveys the entire galaxy with clairvoyance that is purified and surpasses the human, just as a person with good sight could survey a thousand wheel rims from the upper floor of a stilt longhouse. That’s the kind of mendicant who would beautify this park.”
"존경받는 사-리뿟따(Sāriputta), 그건 마치 좋은 눈을 가진 사람이 (바닥에서 살짝 떠 있는) 공동주택의 윗층에서 천 개의 바퀴 가장자리 테두리를 살피듯이, 정화되고 인간을 넘어선 투시력으로 온 은하계를 살피는 수행자입니다. 그것이 바로 이 공원을 아름답게 할 수 있는 수행자의 종류입니다."
When he had spoken, Sāriputta said to Mahākassapa, “Reverend Kassapa, Anuruddha has answered by speaking from his heart. And now we ask you the same question.”
그가 말을 마치자, 사-리뿟따(Sāriputta)는 마하-깟사빠(Mahākassapa)에게 말했다, "존경받는 깟사빠(Kassapa), 아누룻다(Anuruddha)는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말로 대답했습니다. 이제 우리는 같은 질문을 당신에게 드립니다."
“Reverend Sāriputta, it’s a mendicant who lives in the wilderness, eats only almsfood, wears rag robes, and owns just three robes; and they praise these things. They are of few wishes, content, secluded, aloof, and energetic; and they praise these things. They are accomplished in ethics, immersion, wisdom, freedom, and the knowledge and vision of freedom; and they praise these things. That’s the kind of mendicant who would beautify this park.”
"존경받는 사-리뿟따(Sāriputta), 그건 광야에 사는 수행자로, 탁발 음식만 먹고, 누더기 옷을 입으며, 옷이 세 벌 뿐입니다; 그리고 그는 이것을 칭송합니다. 그들은 바램(wish : 무언가를 하고 싶거나 갖고 싶다는 욕망이나 느낌)이 거의 없고, 만족하며, 멀리 떨어지고, 초연하고, 활력이 넘칩니다; 그리고 그는 이것을 칭송합니다. 그들은 도덕적 실천, 몰입(immersion : 어떤 일에 완전히 몰두한 상태), 지혜(wisdom : 자신이 가진 경험과 지식으로 인해 현명한 결정을 내리고 좋은 조언을 할 수 있는 능력), 자유, 그리고 자유에 대한 지식과 보는 능력 속에서 성취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는 이것을 칭송합니다. 그것이 바로 이 공원을 아름답게 할 수 있는 수행자의 종류입니다."
When he had spoken, Sāriputta said to Mahāmoggallāna, “Reverend Moggallāna, Mahākassapa has answered by speaking from his heart. And now we ask you the same question.”
그가 말을 마치자, 사-리뿟따(Sāriputta)는 마하-목갈라-나(Mahāmoggallāna)에게 말했다, "존경받는 목갈라-나(Moggallāna), 마하-깟사빠(Mahākassapa)는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말로 대답했습니다. 이제 우리는 같은 질문을 당신에게 드립니다."
“Reverend Sāriputta, it’s when two mendicants engage in discussion about the teaching. They question each other and answer each other’s questions without faltering, and their discussion on the teaching flows on. That’s the kind of mendicant who would beautify this park.”
"존경받는 사-리뿟따(Sāriputta), 그건 두 명의 수행자가 가르침에 대해 토론할 때입니다. 그들은 서로에게 질문하고 흔들림 없이 대답하며 가르침에 대한 토론이 계속 이어집니다. 그것이 바로 이 공원을 아름답게 할 수 있는 수행자의 종류입니다."
Then Mahāmoggallāna said to Sāriputta, “Each of us has spoken from our heart. And now we ask you: Sāriputta, the sal forest park at Gosiṅga is lovely, the night is bright, the sal trees are in full blossom, and divine scents seem to float on the air. What kind of mendicant would beautify this park?”
그러고 나서 마하-목갈라-나(Mahāmoggallāna)가 사-리뿟따(Sāriputta)에게 말했다, "우리 각자는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말로 말했습니다. 이제 우리는 당신에게 묻습니다: 사-리뿟따(Sāriputta), 고싱가(Gosiṅga)의 사라수 숲(sal forest) 공원은 사랑스럽고, 밤은 밝고, 사라수 나무는 만개해 있고, 신성한 향기가 공중에 떠 있는 것 같습니다. 어떤 종류의 수행자가 이 공원을 아름답게 할 수 있을까요?"
“Reverend Moggallāna, it’s when a mendicant masters their mind and is not mastered by it. In the morning, they abide in whatever meditation or attainment they want. At midday, and in the evening, they abide in whatever meditation or attainment they want. Suppose that a ruler or their minister had a chest full of garments of different colors. In the morning, they’d don whatever pair of garments they wanted. At midday, and in the evening, they’d don whatever pair of garments they wanted.
"존경받는 마하-목갈라-나(Mahāmoggallāna), 그건 수행자가 마음을 다스릴 때이고 마음에 의해서 다스려지지 않을 때입니다. 아침에, 그들이 원하는 명상이나 성취에 머물러 있습니다. 정오와 저녁에, 그들은 원하는 명상이나 성취에 머물러 있습니다. 통치자나 그들의 신하가 다양한 색깔의 옷으로 가득 찬 상자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 보십시오. 아침에, 그들이 무엇이든 원하는 옷을 입었을 것 입니다. 정오와 저녁에, 그들은 무엇이든 원하는 옷을 입었을 것 입니다.
In the same way, a mendicant masters their mind and is not mastered by it. In the morning, they abide in whatever meditation or attainment they want. At midday, and in the evening, they abide in whatever meditation or attainment they want. That’s the kind of mendicant who would beautify this park.”
이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자는 마음을 다스리고 마음에 의해 다스려지지 않습니다. 아침에, 그가 원하는 명상이나 성취에 머물러 있습니다. 정오와 저녁에, 그가 원하는 명상이나 성취에 머물러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이 공원을 아름답게 할 수 있는 수행자의 종류입니다."
Then Sāriputta said to those venerables, “Each of us has spoken from the heart. Come, reverends, let’s go to the Buddha, and inform him about this. As he answers, so we’ll remember it.”
그러고 나서 사-리뿟따(Sāriputta)가 덕망있는 분들에게 말했다, "우리 각자는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말로 말했습니다. 자, 존경받는 여러분, 부처님께 가서 이에 대해 말씀드립시다. 부처님이 대답하시면 우리는 그것을 기억할 것입니다."
“Yes, reverend,” they replied. Then those venerables went to the Buddha, bowed, and sat down to one side. Venerable Sāriputta told the Buddha of how the mendicants had come to see him, and how he had asked Ānanda: “‘Ānanda, the sal forest park at Gosiṅga is lovely, the night is bright, the sal trees are in full blossom, and divine scents seem to float on the air. What kind of mendicant would beautify this park?’ When I had spoken, Ānanda said to me: ‘Reverend Sāriputta, it’s a mendicant who is very learned … That’s the kind of mendicant who would beautify this park.’”
"네, 존경받는 분," 그들이 대답했다. 그러고 나서 그 덕망있는 분들은 부처님께 가서 절하고 한쪽에 앉았다. 덕망있는 사-리뿟따(Sāriputta)는 수행자들이 어떻게 그를 만나러 왔는지, 그리고 그가 어떻게 아-난다(Ānanda)에게 물었는지에 대해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아-난다(Ānanda), 고싱가(Gosiṅga)의 사라수 숲(sal forest) 공원은 사랑스럽고, 밤은 밝고, 사라수 나무는 만개해 있고, 신성한 향기가 공중에 떠 있는 것 같습니다. 어떤 종류의 수행자가 이 공원을 아름답게 할 수 있을까요?' 내가 말을 마치자 아-난다(Ānanda)가 말했습니다. '존경받는 사-리뿟따(Sāriputta), 그것은 매우 학식 있는 수행자입니다 … 그것이 바로 이 공원을 아름답게 할 수 있는 수행자의 종류입니다.'"
“Good, good, Sāriputta! Ānanda answered in the right way for him. For Ānanda is very learned …”
"좋습니다, 훌륭합니다, 사-리뿟따(Sāriputta)! 아-난다(Ānanda)는 그에게 맞는 방식으로 대답했습니다. 아-난다(Ānanda)는 매우 학식이 많기 때문에 …"
“Next I asked Revata the same question. He said: ‘It’s a mendicant who enjoys retreat … That’s the kind of mendicant who would beautify this park.’”
"다음으로 나는 레와따(Revata)에게 같은 질문을 했습니다.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수행을 즐기는 수행자입니다 … 그것이 바로 이 공원을 아름답게 할 수 있는 수행자의 종류입니다.'"
“Good, good, Sāriputta! Revata answered in the right way for him. For Revata enjoys retreat …”
"좋습니다, 훌륭합니다, 사-리뿟따(Sāriputta)! 레와따(Revata)는 그에게 맞는 방식으로 대답했습니다. 레와따(Revata)는 매우 수행을 즐기기 때문에 …"
“Next I asked Anuruddha the same question. He said: ‘It’s a mendicant who surveys the entire galaxy with clairvoyance that is purified and surpasses the human … That’s the kind of mendicant who would beautify this park.’”
"다음으로 나는 아누룻다(Anuruddha)에게 같은 질문을 했습니다.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정화되고 인간을 넘어선 투시력으로 온 은하계를 살피는 수행자입니다 … 그것이 바로 이 공원을 아름답게 할 수 있는 수행자의 종류입니다.'"
“Good, good, Sāriputta! Anuruddha answered in the right way for him. For Anuruddha surveys the entire galaxy with clairvoyance that is purified and surpasses the human.”
"좋습니다, 훌륭합니다, 사-리뿟따(Sāriputta)! 아누룻다(Anuruddha)는 그에게 맞는 방식으로 대답했습니다. 아누룻다(Anuruddha)는 정화되고 인간을 넘어선 투시력으로 온 은하계를 살피기 때문입니다."
“Next I asked Mahākassapa the same question. He said: ‘It’s a mendicant who lives in the wilderness … and is accomplished in the knowledge and vision of freedom; and they praise these things. That’s the kind of mendicant who would beautify this park.’”
"다음으로 나는 마하-깟사빠(Mahākassapa)에게 같은 질문을 했습니다.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건 광야에 사는 수행자로 … 그리고 자유에 대한 지식과 보는 능력 속에서 성취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는 이것을 칭송합니다. 그것이 바로 이 공원을 아름답게 할 수 있는 수행자의 종류입니다.'"
“Good, good, Sāriputta! Kassapa answered in the right way for him. For Kassapa lives in the wilderness … and is accomplished in the knowledge and vision of freedom; and he praises these things.”
"좋습니다, 훌륭합니다, 사-리뿟따(Sāriputta)! 깟사빠(Kassapa)는 그에게 맞는 방식으로 대답했습니다. 깟사빠(Kassapa)는 광야에 살고 … 그리고 자유에 대한 지식과 보는 능력 속에서 성취했고; 그는 이것을 칭송하기 때문입니다."
“Next I asked Mahāmoggallāna the same question. He said: ‘It’s when two mendicants engage in discussion about the teaching … That’s the kind of mendicant who would beautify this park.’”
"다음으로 나는 마하-목갈라-나(Mahāmoggallāna)에게 같은 질문을 했습니다.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건 두 명의 수행자가 가르침에 대해 토론할 때입니다 … 그것이 바로 이 공원을 아름답게 할 수 있는 수행자의 종류입니다."
“Good, good, Sāriputta! Moggallāna answered in the right way for him. For Moggallāna is a Dhamma speaker.”
"좋습니다, 훌륭합니다, 사-리뿟따(Sāriputta)! 목갈라-나(Moggallāna)는 그에게 맞는 방식으로 대답했습니다. 목갈라-나(Moggallāna)는 담마(Dhamma)를 말하는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When he had spoken, Moggallāna said to the Buddha, “Next, I asked Sāriputta: ‘Each of us has spoken from our heart. And now we ask you: Sāriputta, the sal forest park at Gosiṅga is lovely, the night is bright, the sal trees are in full blossom, and divine scents seem to float on the air. What kind of mendicant would beautify this park?’ When I had spoken, Sāriputta said to me: ‘Reverend Moggallāna, it’s when a mendicant masters their mind and is not mastered by it … That’s the kind of mendicant who would beautify this park.’”
그가 말을 마치자, 목갈라-나(Moggallāna)가 부처님께 말했다, "다음으로, 나는 사-리뿟따(Sāriputta)에게 물었습니다: '우리 각자는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말로 말했습니다. 이제 우리는 당신에게 묻습니다: 사-리뿟따(Sāriputta), 고싱가(Gosiṅga)의 사라수 숲(sal forest) 공원은 사랑스럽고, 밤은 밝고, 사라수 나무는 만개해 있고, 신성한 향기가 공중에 떠 있는 것 같습니다. 어떤 종류의 수행자가 이 공원을 아름답게 할 수 있을까요?' 내가 말을 마치자, 사-리뿟따(Sāriputta)가 나에게 말했습니다: '존경받는 목갈라-나(Moggallāna), 그건 수행자가 마음을 다스릴 때이고 마음에 의해서 다스려지지 않을 때입니다 … 그것이 바로 이 공원을 아름답게 할 수 있는 수행자의 종류입니다."
“Good, good, Moggallāna! Sāriputta answered in the right way for him. For Sāriputta masters his mind and is not mastered by it …”
"좋습니다, 훌륭합니다, 목갈라-나(Moggallāna)! 사-리뿟따(Sāriputta)는 그에게 맞는 방식으로 대답했습니다. 사-리뿟따(Sāriputta)는 그의 마음을 다스리고 그의 마음에 의해서 다스려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
When he had spoken, Sāriputta asked the Buddha, “Sir, who has spoken well?”
부처님이 말씀을 마치자, 사-리뿟따(Sāriputta)는 부처님께 물었다, "스승님, 누가 말을 잘 했습니까?"
“You’ve all spoken well in your own way. However, listen to me also as to what kind of mendicant would beautify this sal forest park at Gosiṅga. It’s a mendicant who, after the meal, returns from almsround, sits down cross-legged, sets their body straight, and establishes mindfulness in front of them, thinking: ‘I will not break this sitting posture until my mind is freed from the defilements by not grasping!’ That’s the kind of mendicant who would beautify this park.”
"여러분 모두 각자 맞는 방식대로 잘 말했습니다. 하지만 또한 어떤 종류의 수행자가 고싱가(Gosiṅga)의 이 사라수 숲(sal forest) 공원을 아름답게 할 수 있을지 나의 말을 들어보십시오. 그건 식사를 마치고, 탁발을 마치고 돌아와, 다리를 포개고 (책상다리로) 앉아서, 몸을 곧게 펴고, 그들 앞에 마음챙김을 확립하면서, 이렇게 생각하는 수행자입니다. '내 마음이 꽉쥠(집착)하지 않음으로써 더러운 것(번뇌)에서 해방될 때까지는 이 앉은 자세를 깨뜨리지 않겠다!' 그것이 바로 이 공원을 아름답게 할 수 있는 수행자의 종류입니다."
That is what the Buddha said. Satisfied, those venerables were happy with what the Buddha said.
이것이 바로 부처님이 하신 말씀이다. 납득한 덕망있는 분들은 부처님 말씀에 만족했다.
부처님의 제자들도 각자 수행하는 방식이 달랐고, 선호하는 것도 달랐던 모양이다.
• 아-난다(Ānanda) : 배운 것을 잘 기억하고 간직하는 매우 학식 있는 수행자
• 레와따(Revata) : 수행을 좋아하고 수행을 사랑하는 수행자
• 아누룻다(Anuruddha) : 정화되고 인간을 넘어선 투시력으로 온 세계를 살피는 수행자
• 마하-깟사빠(Mahākassapa) : 광야에 사는 수행자
• 마하-목갈라-나(Mahāmoggallāna) : 토론하는 수행자
• 사-리뿟따(Sāriputta) : 마음을 다스리고 마음에 의해서 다스려지지 않는 수행자
• 부처님(Buddha) : '집착하지 않음으로써 더러운 것에서 해방될 때까지는 이 앉은 자세를 깨뜨리지 않겠다!'는 수행자특히 부처님이 말씀하신 '앉은 자세를 깨뜨리지 않으면서' 해방될 때까지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지는 앞서 '마하-사띠빳타-나숫따(MN10)'에 설명되어 있으니, 다시 읽어보면 좋다.
아래 팔리어를 한글로 번역한 글과 번갈아 보면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MN032. 고싱가살라 긴 경(Mahāgosiṅgasuttam)
고싱가살라 긴 경 M32 Majjhima Nikàya I 4. 2. Mahàgosingasuttaü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
blog.naver.com
M32.
Majjhima Nikāya, mūlapaṇṇāsapāḷi 4. mahāyamakavaggo 2. mahāgosiṅgasuttaṃ (MN 32) 고싱...
blog.naver.com
승가제바(僧伽提婆)가 번역한 한역 "중아함경 우각사라림경" 역시 같은 내용으로 다음 링크에서 읽을 수 있다.
부처님 말씀
반야심경, 금강경, 법화경, 화엄경, 아함경의 주요 경전을 검색하실 수 있는 불경 검색 사이트입니다.
www.wordofbuddha.co.kr
728x90'적당한 길이의 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MN34) 갠지스 강을 건너는 것에 비유 (0) 2023.06.22 (MN33) 가르침과 수행에서 성장, 향상, 완성되는 방법 (1) 2023.06.05 (MN31) 마음의 부패를 멈춘 후의 수행 (1) 2023.04.30 (MN30) 부처님 가르침을 나무 심재에 비유하기-두번째 (1) 2023.04.29 (MN29) 부처님 가르침을 나무 심재에 비유하기 (0) 2023.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