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N30) 부처님 가르침을 나무 심재에 비유하기-두번째적당한 길이의 담론 2023. 4. 29. 23:33
Cūḷasāropamasutta (쭐-라사-로빠마숫따)
원문을 보시려면 여기를 방문바랍니다. https://suttacentral.net/mn30/en/sujato
Middle Discourses 30
중간 담론 30
The Shorter Simile of the Heartwood
심재에 대한 짧은 비유
So I have heard. At one time the Buddha was staying near Sāvatthī in Jeta’s Grove, Anāthapiṇḍika’s monastery.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부처님은 사-왓티-(Sāvatthī) 근처 제타(Jeta)의 숲에 있는 아나-타삔띠까(Anāthapiṇḍika)의 수도원에 머물고 있었다.
Then the brahmin Piṅgalakoccha went up to the Buddha, and exchanged greetings with him. When the greetings and polite conversation were over, he sat down to one side and said to the Buddha:
그 당시 브라만 삥갈라꼿차(Piṅgalakoccha)는 부처님께 다가가 인사를 나누었다. 인사와 정중한 대화가 끝나자, 그는 한쪽에 앉아서 부처님께 말했다:
“Master Gotama, there are those ascetics and brahmins who lead an order and a community, and teach a community. They’re well-known and famous religious founders, regarded as holy by many people. Namely: Pūraṇa Kassapa, Makkhali Gosāla, Ajita Kesakambala, Pakudha Kaccāyana, Sañjaya Belaṭṭhiputta, and Nigaṇṭha Nāṭaputta. According to their own claims, did all of them have direct knowledge, or none of them, or only some?”
"고따마(Gotama) 스승님, 교단과 공동체를 이끌고, 공동체를 가르치는 고행자와 브라만이 있습니다. 그들은 잘 알려지고 유명한 종교 창시자들이며, 많은 사람들에게 신성하다고 여겨집니다. 즉: 뿌-라나 깟사빠(Pūraṇa Kassapa), 막칼리 고살-라(Makkhali Gosāla), 아지따 께사깜발라(Ajita Kesakambala), 빠꾸다 깟짜-야나(Pakudha Kaccāyana), 산자야 벨랏티뿟따(Sanjaya Belaṭṭhiputta) 그리고 니간타 나-따뿟따(Nigaṇṭha Nāṭaputta)입니다. 그들의 주장에 따르면, 그들 모두가 직접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었습니까, 아니면 그들 중 아무도 없었습니까, 아니면 일부만 있었습니까?"
“Enough, brahmin, let this be: ‘According to their own claims, did all of them have direct knowledge, or none of them, or only some?’ I will teach you the Dhamma. Listen and pay close attention, I will speak.”
"충분합니다, 브라만, '그들의 주장에 따르면, 그들 모두가 직접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었습니까, 아니면 그들 중 아무도 없었습니까, 아니면 일부만 있었습니까?': 이것은 그대로 두십시오. 나는 담마(Dhamma)를 가르치겠습니다. 잘 들으시고 귀 기울여 주십시오. 제가 말씀드리겠습니다."
“Yes sir,” Piṅgalakoccha replied. The Buddha said this:
"네, 스승님," 삥갈라꼿차(Piṅgalakoccha)가 대답했다. 부처님은 이렇게 말했다:
“Suppose there was a person in need of heartwood. And while wandering in search of heartwood he’d come across a large tree standing with heartwood. But, passing over the heartwood, softwood, bark, and shoots, he’d cut off the branches and leaves and depart imagining they were heartwood. If a person with good eyesight saw him they’d say: ‘This gentleman doesn’t know what heartwood, softwood, bark, shoots, or branches and leaves are. That’s why he passed them over, cut off the branches and leaves, and departed imagining they were heartwood. Whatever he needs to make from heartwood, he won’t succeed.’
"심재(heartwood : 나무의 단단하고 오래된 안쪽 층)가 필요한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 보십시오. 그리고 심재를 찾아 헤매다가 그는 심재를 가지고 서 있는 큰 나무를 발견했습니다. 하지만, 심재를 지나치고, 연한 목재를 지나치고, 나무껍질을 지나치고, 어린 줄기를 지나쳐서, 그는 나뭇가지와 잎사귀를 잘라 가면서 그는 그것이 심재라고 떠올립니다. 만약 눈이 좋은 사람이 그를 보면 이렇게 말했을 겁니다, '이 훌륭한 사람은 심재, 연한 목재, 나무껍질, 어린 줄기, 나뭇가지와 잎사귀가 무엇인지 모르는구나. 그래서 그는 그것들을 지나쳐서 나뭇가지와 잎사귀를 잘라 가면서 그것이 심재라고 떠올리는 것이다. 심재를 가지고 그가 필요한 무엇을 만들던지, 그는 성공하지 못할 것이다.'
Suppose there was another person in need of heartwood … he’d cut off the shoots and depart imagining they were heartwood …
심재가 필요한 또 다른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 보십시오 … 그는 어린 줄기를 잘라 가면서 그는 심재라고 떠올립니다 …
Suppose there was another person in need of heartwood … he’d cut off the bark and depart imagining it was heartwood …
심재가 필요한 또 다른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 보십시오 … 그는 나무껍질을 잘라 가면서 그는 심재라고 떠올립니다 …
Suppose there was another person in need of heartwood … he’d cut out the softwood and depart imagining it was heartwood …
심재가 필요한 또 다른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 보십시오 … 그는 연한 목재를 잘라 가면서 그는 심재라고 떠올립니다 …
Suppose there was another person in need of heartwood. And while wandering in search of heartwood he’d come across a large tree standing with heartwood. He’d cut out just the heartwood and depart knowing it was heartwood. If a person with good eyesight saw him they’d say: ‘This gentleman knows what heartwood, softwood, bark, shoots, or branches and leaves are. That’s why he cut out just the heartwood and departed knowing it was heartwood. Whatever he needs to make from heartwood, he will succeed.’
심재가 필요한 또 다른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 보십시오. 그리고 심재를 찾아 헤매다가 그는 심재를 가지고 서 있는 큰 나무를 발견했습니다. 그는 딱 심재만 잘라 가면서 그는 그것이 심재라는 것을 압니다. 만약 눈이 좋은 사람이 그를 보면 이렇게 말했을 겁니다, '이 훌륭한 사람은 심재, 연한 목재, 나무껍질, 어린 줄기, 나뭇가지와 잎사귀가 무엇인지 알고 있구나. 그래서 그는 딱 심재만 잘라 가면서 그것이 심재인 줄 아는 것이다. 심재를 가지고 그가 필요한 무엇을 만들던지, 그는 성공할 것이다.' …
In the same way, take a certain person who goes forth from the lay life to homelessness, thinking: ‘I’m swamped by rebirth, old age, and death; by sorrow, lamentation, pain, sadness, and distress. I’m swamped by suffering, mired in suffering. Hopefully I can find an end to this entire mass of suffering.’ When they’ve gone forth they generate possessions, honor, and popularity. They’re happy with that, and they’ve got all they wished for. And they glorify themselves and put others down on account of that: ‘I’m the one with possessions, honor, and popularity. These other mendicants are obscure and insignificant.’ They become lazy and slack regarding their possessions, honor, and popularity, not generating enthusiasm or trying to realize those things that are better and finer. … They’re like the person who mistakes branches and leaves for heartwood, I say.
이와 같은 방식으로, 평범한 삶에서 집없는 삶으로 나아간 어떤 사람의 경우를 떠올려 보십시오, 그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나는 다시 태어남, 늙음, 죽음의 늪에 빠져있구나; 슬픔, 비탄, 통증, 비애, 고뇌에 (빠져있구나). 나는 고통의 늪에 빠져있고, 고통의 진창에 빠져 있구나. 이 모든 고통의 덩어리를 끝낼 수 있기를.' 그들이 출가한 후 그들은 재산, 명예, 인기를 얻었습니다. 그들은 그것에 기뻐하고, 원하는 모든 것을 얻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자기 스스로를 미화하고, 이렇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을 멸시합니다: '나는 재산, 명예, 인기를 가진 사람이다. 다른 수행자들은 잘 보이지 않고 하찮다.' 그들은 재산, 명예, 인기에 대해서 게을러지고 나태해져서, 열정을 일으키지 않거나 더 좋고 더 훌륭한 것을 실현하려고 노력하지 않습니다. … 그들은 나뭇가지와 잎사귀를 심재로 착각하는 사람과 같습니다.
Next, take a gentleman who has gone forth from the lay life to homelessness … They become lazy and slack regarding their accomplishment in ethics, not generating enthusiasm or trying to realize those things that are better and finer. … They’re like the person who mistakes shoots for heartwood, I say.
다음으로, 평범한 삶에서 집없는 삶으로 나아간 훌륭한 사람을 떠올려 보십시오 … 그들은 도덕적인 성취에 대해서 게을러지고 나태해져서, 열정을 일으키지 않거나 더 좋고 더 훌륭한 것을 실현하려고 노력하지 않습니다. … 그들은 연한 가지를 심재로 착각하는 사람과 같습니다.
Next, take a gentleman who has gone forth from the lay life to homelessness … They become lazy and slack regarding their accomplishment in immersion, not generating enthusiasm or trying to realize those things that are better and finer. … They’re like the person who mistakes bark for heartwood, I say.
다음으로, 평범한 삶에서 집없는 삶으로 나아간 훌륭한 사람을 떠올려 보십시오 … 그들은 몰입(immersion : 어떤 일에 완전히 몰두한 상태) 속 성취에 대해서 게을러지고 나태해져서, 열정을 일으키지 않거나 더 좋고 더 훌륭한 것을 실현하려고 노력하지 않습니다. … 그들은 나무껍질을 심재로 착각하는 사람과 같습니다.
Next, take a gentleman who has gone forth from the lay life to homelessness … They become lazy and slack regarding their knowledge and vision, not generating enthusiasm or trying to realize those things that are better and finer. … They’re like the person who mistakes softwood for heartwood, I say.
다음으로, 평범한 삶에서 집없는 삶으로 나아간 훌륭한 사람을 떠올려 보십시오 … 그들은 그들의 지식과 보는 능력에 대해서 게을러지고 나태해져서, 열정을 일으키지 않거나 더 좋고 더 훌륭한 것을 실현하려고 노력하지 않습니다. … 그들은 연한 목재를 심재로 착각하는 사람과 같습니다.
Next, take a gentleman who has gone forth from the lay life to homelessness, thinking: ‘I’m swamped by rebirth, old age, and death; by sorrow, lamentation, pain, sadness, and distress. I’m swamped by suffering, mired in suffering. Hopefully I can find an end to this entire mass of suffering.’ When they’ve gone forth they generate possessions, honor, and popularity. They’re not happy with that, and haven’t got all they wished for. They don’t glorify themselves and put others down on account of that. They don’t become lazy and slack regarding their possessions, honor, and popularity, but generate enthusiasm and try to realize those things that are better and finer. They become accomplished in ethics. They’re happy with that, but they haven’t got all they wished for. They don’t glorify themselves and put others down on account of that. They don’t become lazy and slack regarding their accomplishment in ethics, but generate enthusiasm and try to realize those things that are better and finer. They become accomplished in immersion. They’re happy with that, but they haven’t got all they wished for. They don’t glorify themselves and put others down on account of that. They don’t become lazy and slack regarding their accomplishment in immersion, but generate enthusiasm and try to realize those things that are better and finer. They achieve knowledge and vision. They’re happy with that, but they haven’t got all they wished for. They don’t glorify themselves and put others down on account of that. They don’t become lazy and slack regarding their knowledge and vision, but generate enthusiasm and try to realize those things that are better and finer.
다음으로, 평범한 삶에서 집없는 삶으로 나아간 훌륭한 사람을 떠올려 보십시오. '나는 다시 태어남, 늙음, 죽음의 늪에 빠져있구나; 슬픔, 비탄, 통증, 비애, 고뇌에 (빠져있구나). 나는 고통의 늪에 빠져있고, 고통의 진창에 빠져 있구나. 이 모든 고통의 덩어리를 끝낼 수 있기를.' 그들이 출가한 후 그들은 재산, 명예, 인기를 얻었습니다. 그들은 그것에 기뻐하지 않고, 원하는 모든 것을 얻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자기 스스로를 미화하지 않고 그것 때문에 다른 사람들을 멸시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그들의 재산, 명예, 인기에 대해서 게을러지고 나태해지지 않고, 열정을 일으키고 더 좋고 더 훌륭한 것을 실현하려고 노력합니다. 그들은 도덕적으로 성취하게 됩니다. 그들은 그것에 기뻐하지만, 원하는 모든 것을 얻지는 못했습니다. 그들은 자기 스스로를 미화하지 않고 그것 때문에 다른 사람들을 멸시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그들의 도덕적인 성취에 대해서 게을러지고 나태해지지 않고, 열정을 일으키고 더 좋고 더 훌륭한 것을 실현하려고 노력합니다. 그들은 몰입 속에서 성취하게 됩니다. 그들은 그것에 기뻐하지만, 원하는 모든 것을 얻지는 못했습니다. 그들은 자기 스스로를 미화하지 않고 그것 때문에 다른 사람들을 멸시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그들의 몰입 속 성취에 대해서 게을러지고 나태해지지 않고, 열정을 일으키고 더 좋고 더 훌륭한 것을 실현하려고 노력합니다. 그들은 지식과 보는 능력을 성취하게 됩니다. 그들은 그것에 기뻐하지만, 원하는 모든 것을 얻지는 못했습니다. 그들은 자기 스스로를 미화하지 않고 그것 때문에 다른 사람들을 멸시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그들의 지식과 보는 능력에 대해서 게을러지고 나태해지지 않고, 열정을 일으키고 더 좋고 더 훌륭한 것을 실현하려고 노력합니다.
And what are those things that are better and finer than knowledge and vision?
그러면 지식과 보는 능력보다 더 좋고 더 훌륭한 것은 무엇이겠습니까?
Take a mendicant who, quite secluded from sensual pleasures, secluded from unskillful qualities, enters and remains in the first absorption, which has the rapture and bliss born of seclusion, while placing the mind and keeping it connected. This is something better and finer than knowledge and vision.
한 수행자를 떠올려 보십시오, 그는 육체적 감각의 즐거움으로부터 완전히 떨어지게 하고, 미숙한 성품으로부터 완전히 떨어지고, 일어난 생각이 있고, (생각을) 조사하는 동안 첫번째 몰두(absorption : 누군가 어떤 것에 매우 관심이 있어서 모든 주의를 기울이게 되는 것)에 들어가 머물게 되며, 그곳은 (즐거움과 미숙한 성품으로부터) 떨어짐에서 태어난 황홀감(rapture : 극도의 즐거움과 행복감)과 더없는 기쁨이 있습니다. 이것은 지식과 보는 능력보다 더 좋고 더 훌륭한 것입니다.
Furthermore, as the placing of the mind and keeping it connected are stilled, a mendicant enters and remains in the second absorption, which has the rapture and bliss born of immersion, with internal clarity and confidence, and unified mind, without placing the mind and keeping it connected. This too is something better and finer than knowledge and vision.
더 나아가, 일어난 생각이 있고, (생각을) 조사하는 것이 잠잠해지면, 수행자는 두번째 몰두에 들어가 머물며, 그곳은 몰입(immersion : 어떤 일에 완전히 몰두한 상태)에서 생겨난 황홀감과 더없는 기쁨이 있는 곳으로, 일어난 생각이 없고 (생각을) 조사하는 것이 없이, 내적인 명료함과 확신, 그리고 통일된 마음은 함께 합니다. 이것 역시 지식과 보는 능력보다 더 좋고 더 훌륭한 것입니다.
Furthermore, with the fading away of rapture, a mendicant enters and remains in the third absorption, where they meditate with equanimity, mindful and aware, personally experiencing the bliss of which the noble ones declare, ‘Equanimous and mindful, one meditates in bliss.’ This too is something better and finer than knowledge and vision.
더 나아가, 황홀감이 서서히 사라짐이 함께 하고, 수행자는 세 번째 몰두에 들어가 머물며, 그곳에서 그들은 평정심(equanimity : 특히 어려운 상황에서도 화를 내거나 분개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차분한 마음 상태)과 현재 순간에 집중하고, 알아차림으로 명상하고, 고귀한 사람들이 '차분함과 현재 순간에 집중하여 더없는 기쁨 속에서 명상한다'고 선언한 더없는 기쁨을 개인적으로 경험합니다. 이것 역시 지식과 보는 능력보다 더 좋고 더 훌륭한 것입니다.
Furthermore, giving up pleasure and pain, and ending former happiness and sadness, a mendicant enters and remains in the fourth absorption, without pleasure or pain, with pure equanimity and mindfulness. This too is something better and finer than knowledge and vision.
더 나아가, 즐거움과 고통을 멈추고, 과거의 행복과 슬픔을 끝내고, 수행자가 네 번째 몰두에 들어가 머물게 될 때이며, 즐거움과 고통이 없고, 순수한 평정과 마음챙김이 함께 합니다. 이것 역시 지식과 보는 능력보다 더 좋고 더 훌륭한 것입니다.
Furthermore, a mendicant, going totally beyond perceptions of form, with the ending of perceptions of impingement, not focusing on perceptions of diversity, aware that ‘space is infinite’, enters and remains in the dimension of infinite space. This too is something better and finer than knowledge and vision.
더 나아가, 형태에 대한 지각을 완전히 넘어서서, (물리적) 충돌에 대한 지각의 끝냄을 가지고, 다양성에 대한 지각에만 집중하지 않고, '공간은 무한하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수행자는 무한한 공간의 차원에 들어가 머뭅니다. 이것 역시 지식과 보는 능력보다 더 좋고 더 훌륭한 것입니다.
Furthermore, a mendicant, going totally beyond the dimension of infinite space, aware that ‘consciousness is infinite’, enters and remains in the dimension of infinite consciousness. This too is something better and finer than knowledge and vision.
더 나아가, 수행자가 무한한 공간의 차원을 완전히 넘어서서, '의식은 무한하다'고 깨달아, 무한한 의식의 차원에 들어가 머뭅니다. 이것 역시 지식과 보는 능력보다 더 좋고 더 훌륭한 것입니다.
Furthermore, a mendicant, going totally beyond the dimension of infinite consciousness, aware that ‘there is nothing at all’, enters and remains in the dimension of nothingness. This too is something better and finer than knowledge and vision.
더 나아가, 수행자가 무한한 의식의 차원을 완전히 넘어서서, '전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깨달아, 없음(nothingness :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상황; 존재하지 않는 상태)의 차원에 들어가 머뭅니다. 이것 역시 지식과 보는 능력보다 더 좋고 더 훌륭한 것입니다.
Furthermore, take a mendicant who, going totally beyond the dimension of nothingness, enters and remains in the dimension of neither perception nor non-perception. This too is something better and finer than knowledge and vision.
더 나아가, 수행자가 없음의 차원을 완전히 넘어서서, 우리는 지각할 수도 없고 지각할 수 없는 것도 아닌 차원에 들어가 머뭅니다. 이것 역시 지식과 보는 능력보다 더 좋고 더 훌륭한 것입니다.
Furthermore, take a mendicant who, going totally beyond the dimension of neither perception nor non-perception, enters and remains in the cessation of perception and feeling. And, having seen with wisdom, their defilements come to an end. This too is something better and finer than knowledge and vision. These are the things that are better and finer than knowledge and vision.
더 나아가, 수행자가 지각할 수도 없고 지각할 수 없는 것도 아닌 차원을 완전히 넘어서서, 지각과 느낌의 멈춤에 들어가 머뭅니다. 그리고 지혜로 보았으므로, 그들의 더러운 것(번뇌)이 끝났습니다. 이것 역시 지식과 보는 능력보다 더 좋고 더 훌륭한 것입니다. 이들이 지식과 보는 능력보다 더 좋고 더 훌륭한 것입니다.
Suppose there was a person in need of heartwood. And while wandering in search of heartwood he’d come across a large tree standing with heartwood. He’d cut out just the heartwood and depart knowing it was heartwood. Whatever he needs to make from heartwood, he will succeed. That’s what this person is like, I say.
심재가 필요한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 보십시오. 그리고 심재를 찾아 헤매다가 그는 심재를 가지고 서 있는 큰 나무를 발견했습니다. 그는 딱 심재만 잘라 가면서 그는 그것이 심재라는 것을 압니다. 심재를 가지고 그가 필요한 무엇을 만들던지, 그는 성공할 것입니다. 저는 이 사람이 바로 그런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And so, brahmin, this spiritual life is not lived for the sake of possessions, honor, and popularity, or for accomplishment in ethics, or for accomplishment in immersion, or for knowledge and vision. Rather, the goal, heartwood, and final end of the spiritual life is the unshakable freedom of heart.”
그러므로, 브라만, 이 영적인 삶은 재산, 명예, 인기를 위해 사는 것이 아니며, 도덕적인 성취를 위한 것도, 몰입의 성취를 위한 것도, 지식과 보는 능력을 위해 사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목표는, 심재이고, 영적인 삶의 마지막 끝은 흔들리지 않는 확고한 마음의 자유입니다."
When he had spoken, the brahmin Piṅgalakoccha said to the Buddha, “Excellent, Master Gotama! Excellent! … From this day forth, may Master Gotama remember me as a lay follower who has gone for refuge for life.”
부처님이 말을 마치자, 브라만 삥갈라꼿차(Piṅgalakoccha)가 부처님께 말했다, "훌륭합니다, 고따마(Gotama) 스승님! 훌륭합니다! … 오늘부터 고타마 스승님께서는 저를 평생의 피난처를 찾아간 한명의 신자로 기억해 주시기 바랍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나무의 심재(heartwood : 나무의 단단하고 오래된 안쪽 층)로 비유한 앞서 긴 경전(MN29)과 이번 짧은 경전은 크게 다른 부분 없었다.
■ 심재에 해당하는 "영구적인 해방"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를 따라야 한다.
① 삶의 괴로움을 인식하고 끝내기 위해서 출가
② 재산, 명예, 인기 (나뭇가지나 잎사귀)
③ 도덕적으로 성취 (연한 가지)
④ 몰입 속 성취 (나무껍질)
⑤ 지식과 보는 능력을 성취 (연한 목재)
⑥ 1~4 번째 몰두(선정)
⑦ 무한한 공간의 차원
⑧ 무한한 의식의 차원
⑨ 없음의 차원
⑩ 지각할 수도 없고 지각할 수 없는 것도 아닌 차원
⑪ 지각과 느낌의 멈춤 = 더러운 것(번뇌)을 끝냄
다만, 각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중간에 반드시 해야 하는 것은 "게을러지지 않고, 나태해지지 않고, 열정을 일으키고, 더 좋고 더 훌륭한 것을 실현하려고 노력"하는 것이었다.이 경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하겠다.
아래 팔리어를 한글로 번역한 글과 번갈아 보면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MN030. 심재 비유의 작은(짧은) 경((Cūḷasāropamasuttaṃ)
심재 비유의 작은(짧은) 경 Mn30 Majjhima Nikàya I 3 10. Cålasàropamasuttaü 1. 이와 같이 나는 들...
blog.naver.com
M30.
Majjhima Nikāya mūlapaṇṇāsapāḷi 3. opammavaggo 10. cūḷasāropamasuttaṃ (MN 30) 심재 비...
blog.naver.com
728x90'적당한 길이의 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MN32) 당신은 어떤 종류의 수행자인가요? (0) 2023.05.28 (MN31) 마음의 부패를 멈춘 후의 수행 (1) 2023.04.30 (MN29) 부처님 가르침을 나무 심재에 비유하기 (0) 2023.04.23 (MN28) 5 가지 꽉쥠 집합체와 의식의 발현 (0) 2023.04.11 (MN27) 깨달은 자의 발자국을 따라서… (0) 2023.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