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N4) 두려움과 공포속에서 부처님이 깨달음에 도달하게 된 과정적당한 길이의 담론 2023. 2. 23. 12:32
Bhayabheravasutta (바야베라와숫따)
원문을 보시려면 여기를 방문바랍니다. https://suttacentral.net/mn4/en/sujato
Middle Discourses 4
중간 담론 4
Fear and Dread
두려움과 공포
So I have heard. At one time the Buddha was staying near Sāvatthī in Jeta’s Grove, Anāthapiṇḍika’s monastery.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부처님은 사-왓티-(Sāvatthī) 근처 제타(Jeta)의 숲에 있는 아나-타삔띠까(Anāthapiṇḍika)의 수도원에 머물고 있었다.
Then the brahmin Jāṇussoṇi went up to the Buddha, and exchanged greetings with him. When the greetings and polite conversation were over, he sat down to one side and said to the Buddha:
그 당시 브라만 자-눗소니(Jāṇussoṇi)는 부처님께 다가가 그와 인사를 나누었다. 인사와 정중한 대화가 끝나자, 그는 한쪽에 앉아 부처님께 말했다.
“Master Gotama, those gentlemen who have gone forth from the lay life to homelessness out of faith in Master Gotama have Master Gotama to lead the way, help them out, and give them encouragement. And those people follow Master Gotama’s example.”
"고따마(Gotama) 스승님, 고따마(Gotama) 스승님에 대한 믿음으로 삶을 내려놓고 집없이 살아가는 삶으로 올바르게 나온, 올바른 사람들은 고타마 스승님께서 길을 인도해주시고, 도와주시고, 격려해 주시길 바라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사람들은 고따마(Gotama) 스승님의 모범을 따릅니다."
“That’s so true, brahmin! Everything you say is true, brahmin!”
"그렇습니다, 브라만! 당신이 말하는 모든 것이 사실입니다, 브라만!"
“But Master Gotama, remote lodgings in the wilderness and the forest are challenging. It’s hard to maintain seclusion and hard to find joy in solitude. The forests seem to rob the mind of a mendicant who isn’t immersed in samādhi.”
"그러나 고따마(Gotama) 스승님, 광야와 숲 속의 외딴 곳에서 임시로 거주하는 것들은 도전적입니다. 떨어짐(seclusion : 사적이거나 다른 사람들과 거의 접촉하지 않는 상태. 은거)을 유지하기 어렵고 고독 속에서 기쁨을 찾기도 어렵습니다. 숲은 삼매(samādhi)에 잠기지 않은 수행자의 마음을 앗아가는 것 같습니다."
“That’s so true, brahmin! Everything you say is true, brahmin!
"그렇습니다, 브라만! 당신이 말하는 모든 것이 사실입니다, 브라만!
Before my awakening—when I was still unawakened but intent on awakening—I too thought, ‘Remote lodgings in the wilderness and the forest are challenging. It’s hard to maintain seclusion and hard to find joy in solitude. The forests seem to rob the mind of a mendicant who isn’t immersed in samādhi.’
나의 깨어남이 있기 전—내가 아직 깨어나지 않았지만, 깨어 있으려 열중하고 있을 때—나는 생각했습니다, '광야와 숲 속의 외딴 곳에서 임시로 거주하는 것들은 도전적이구나. 떨어짐을 유지하기 어렵고 고독 속에서 기쁨을 찾기도 어렵구나. 숲은 삼매(samādhi)에 잠기지 않은 수행자의 마음을 앗아가는 것 같구나.'
Then I thought, ‘There are ascetics and brahmins with unpurified conduct of body, speech, and mind who frequent remote lodgings in the wilderness and the forest. Those ascetics and brahmins summon unskillful fear and dread because of these defects in their conduct. But I don’t frequent remote lodgings in the wilderness and the forest with unpurified conduct of body, speech, and mind. My conduct is purified. I am one of those noble ones who frequent remote lodgings in the wilderness and the forest with purified conduct of body, speech, and mind.’ Seeing this purity of conduct in myself I felt even more unruffled about staying in the forest.
그러고 나서 나는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몸과 말과 마음이 청정하지 못한 행실을 가진 고행자들과 브라만들이 있고, 그들은 광야와 숲 속의 외딴 곳에서 자주 임시로 거주하는구나. 저 고행자들과 브라만들은 이러한 행위의 결점 때문에 미숙한 두려움과 공포를 불러 일으키는구나. 하지만 나는 몸과 말과 마음이 청정하지 못한 행실을 가지고 광야와 숲 속의 외딴 곳에서 자주 임시로 거주하는 것이 아니다. 나의 행위는 정화되었다. 나는 몸과 말과 마음이 청정한 행실을 가지고 광야와 숲 속의 외딴 곳에서 자주 임시로 거주하는 고귀한 사람 중 한 명이다.' 내 안에 있는 이 청정한 행실을 봄으로써, 나는 숲 속에 머무는 것이 더욱 마음이 편해졌습니다.
Then I thought, ‘There are ascetics and brahmins with unpurified livelihood who frequent remote lodgings in the wilderness and the forest. Those ascetics and brahmins summon unskillful fear and dread because of these defects in their livelihood. But I don’t frequent remote lodgings in the wilderness and the forest with unpurified livelihood. My livelihood is purified. I am one of those noble ones who frequent remote lodgings in the wilderness and the forest with purified livelihood.’ Seeing this purity of livelihood in myself I felt even more unruffled about staying in the forest.
그러고 나서 나는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청정하지 못한 생계를 가진 고행자들과 브라만들이 있고, 그들은 광야와 숲 속의 외딴 곳에서 자주 임시로 거주하는구나. 저 고행자들과 브라만들은 이러한 생계의 결점 때문에 미숙한 두려움과 공포를 불러 일으키는구나. 하지만 나는 청정하지 못한 생계를 가지고 광야와 숲 속의 외딴 곳에서 자주 임시로 거주하는 것이 아니다. 나의 생계가 정화되었다. 나는 청정한 생계를 가지고 광야와 숲 속의 외딴 곳에서 자주 임시로 거주하는 고귀한 사람 중 한 명이다.' 내 안에 있는 이 청정한 생계를 봄으로써, 나는 숲 속에 머무는 것이 더욱 마음이 편해졌습니다.
Then I thought, ‘There are ascetics and brahmins full of desire for sensual pleasures, with acute lust … I am not full of desire …’
그러고 나서 나는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감각적 쾌락에 대한 욕망으로 가득 찬 고행자들과 브라만들이 있구나 … 나는 욕망으로 가득차지 않았다 …'
‘There are ascetics and brahmins full of ill will, with malicious intentions … I have a heart full of love …’
'악의적인 의도를 가진 혐오감으로 가득 찬 고행자들과 브라만들이 있구나 … 나는 사랑으로 가득 찬 마음을 가지고 있다 …'
‘There are ascetics and brahmins overcome with dullness and drowsiness … I am free of dullness and drowsiness …’
'둔함(dullness : 흥미롭지 않은 상태나, 재미없는 상태)과 졸음(drowsiness : 피곤하고 자고 싶은 상태)
에 사로잡힌 고행자들과 브라만들이 있구나 … 나는 둔함과 졸음에서 벗어났다 …'
‘There are ascetics and brahmins who are restless, with no peace of mind … My mind is peaceful …’
'마음의 평화가 없는 침착하지 못한 고행자들과 브라만들이 있구나 … 나의 마음은 평화롭다 …'
‘There are ascetics and brahmins who are doubting and uncertain … I’ve gone beyond doubt …’
'의심하고 분명하지 않은 고행자들과 브라만들이 있구나 … 나는 의심을 넘어섰다 …'
‘There are ascetics and brahmins who glorify themselves and put others down … I don’t glorify myself and put others down …’
'그들 스스로를 미화하고 남을 비하하는 고행자들과 브라만들이 있구나 … 나는 스스로를 미화하지 않고 남을 비하하지 않는다 …'
‘There are ascetics and brahmins who are cowardly and craven … I don’t get startled …’
'겁쟁이 같고 겁이 많은 고행자들과 브라만들이 있구나 … 나는 놀라지 않는다 …'
‘There are ascetics and brahmins who enjoy possessions, honor, and popularity … I have few wishes …’
'소유한 것들과 명예와 인기를 즐기는 고행자들과 브라만들이 있구나 … 나는 바램(wish : 무언가를 하고 싶거나 갖고 싶다는 욕망이나 느낌)이 적다 …'
‘There are ascetics and brahmins who are lazy and lack energy … I am energetic …’
'게으르고 에너지(energy : 육체적 또는 정신적 활동과 일 등을 위해 필요한 힘, 노력, 열정)가 부족한 고행자들과 브라만들이 있구나 … 나는 활기차다 …'
‘There are ascetics and brahmins who are unmindful and lack situational awareness … I am mindful …’
'현재 순간에 집중하지 않고 상황을 알아차림이 부족한 고행자들과 브라만들이 있구나 … 나는 현재 순간에 집중한다 …'
‘There are ascetics and brahmins who lack immersion, with straying minds … I am accomplished in immersion …’
'마음이 옆길로 벗어나고 몰입(immersion : 어떤 일에 완전히 몰두한 상태)이 부족한 고행자들과 브라만들이 있구나 … 나는 몰입에서 성취되었다 …'
‘There are ascetics and brahmins who are witless and stupid who frequent remote lodgings in the wilderness and the forest. Those ascetics and brahmins summon unskillful fear and dread because of the defects of witlessness and stupidity. But I don’t frequent remote lodgings in the wilderness and the forest witless and stupid. I am accomplished in wisdom. I am one of those noble ones who frequent remote lodgings in the wilderness and the forest accomplished in wisdom.’ Seeing this accomplishment of wisdom in myself I felt even more unruffled about staying in the forest.
'지혜가 없고 어리석은 고행자들과 브라만들이 있고, 그들은 광야와 숲 속의 외딴 곳에서 자주 임시로 거주하는구나. 저 고행자들과 브라만들은 지혜가 없고 어리석음의 결점 때문에 미숙한 두려움과 공포을 불러 일으키는구나. 하지만 나는 지혜가 없고 어리석음을 가지고 광야와 숲 속의 외딴 곳에서 자주 임시로 거주하는 것이 아니다. 나는 지혜속에서 성취되었다. 나는 지혜속에서 성취되었고 광야와 숲 속의 외딴 곳에서 자주 임시로 거주하는 고귀한 사람 중 한 명이다.' 내 안에 지혜속에서 성취함을 봄으로써, 나는 숲에 머무르는 것이 더욱 마음이 편해졌습니다.
Then I thought, ‘There are certain nights that are recognized as specially portentous: the fourteenth, fifteenth, and eighth of the fortnight. On such nights, why don’t I stay in awe-inspiring and hair-raising shrines in parks, forests, and trees? In such lodgings, hopefully I might see that fear and dread.’ Some time later, that’s what I did. As I was staying there a deer came by, or a peacock snapped a twig, or the wind rustled the leaves. Then I thought, ‘Is this that fear and dread coming?’ Then I thought, ‘Why do I always meditate expecting that fear and terror to come? Why don’t I get rid of that fear and dread just as it comes, while remaining just as I am?’ Then that fear and dread came upon me as I was walking. I didn’t stand still or sit down or lie down until I had got rid of that fear and dread while walking. Then that fear and dread came upon me as I was standing. I didn’t walk or sit down or lie down until I had got rid of that fear and dread while standing. Then that fear and dread came upon me as I was sitting. I didn’t lie down or stand still or walk until I had got rid of that fear and dread while sitting. Then that fear and dread came upon me as I was lying down. I didn’t sit up or stand still or walk until I had got rid of that fear and dread while lying down.
그러고 나서 나는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특별히 불길한 날로 인식되는 특정한 밤들이 있다: 2주 중 14번째 밤, 15번째 밤, 8번째 밤. 그런 밤에, 내가 공원, 숲 속, 나무들 속에 있는 경외심을 불러일으키고 머리털이 곤두서는 사원(성지)에서 머물면 어떨까? 그런 거처에서, 나는 그 두려움과 공포을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 얼마 후, 나는 그렇게 했습니다. 내가 거기에 머물고 있을 때, 사슴이 지나가거나 공작이 나뭇가지를 꺾거나, 바람에 나뭇잎이 바스락거렸습니다. 그때 나는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이것이 저 두려움과 공포가 오는 것인가?' 그러고 나서 나는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왜 나는 저 두려움과 공포가 다가올 것을 예상하면서 항상 명상을 하는걸까? 저 두려움과 공포가 있자마자, 없애버리고 내가 있던 그대로 있는 건 어떨까?' 그러고 나서 내가 걷고 있을 때 저 두려움과 공포가 나를 엄습했습니다. 저 두려움과 공포를 없앨 때까지 나는 걸었고, 가만히 서 있거나 앉거나 눕지 않았습니다. 그러고 나서 내가 서 있을 때 저 두려움과 공포가 엄습했습니다. 저 두려움과 공포을 없앨 때까지 서 있었고, 나는 걷거나 앉거나 눕지 않았습니다. 그러고 나서 내가 앉아 있을 때 저 두려움과 공포가 엄습했습니다. 저 두려움과 공포를 없앨 때까지 앉아 있었고, 눕거나 가만히 서 있거나 걷지 않았습니다. 그러고 나서 내가 누워 있을 때 저 두려움과 공포가 엄습했습니다. 저 두려움과 공포를 없앨 때까지 누워있었고, 앉거나 가만히 서거나 걷지 않았습니다.
There are some ascetics and brahmins who perceive that it’s day when in fact it’s night, or perceive that it’s night when in fact it’s day. This meditation of theirs is delusional, I say. I perceive that it’s night when in fact it is night, and perceive that it’s day when in fact it is day. And if there’s anyone of whom it may be rightly said that a being not liable to delusion has arisen in the world for the welfare and happiness of the people, out of compassion for the world, for the benefit, welfare, and happiness of gods and humans, it’s of me that this should be said.
실제로는 밤인데도 낮이라고 지각하거나, 실제로는 낮인데도 밤이라고 지각하는 고행자들과 브라만들이 있습니다. 그들의 이러한 명상은 망상한(delusional : 현실에 근거하지 않은 생각이나 신념을 가지고) 것 이라고, 나는 말합니다. 나는 실제로 밤을 밤으로 지각하고, 실제로 낮을 낮으로 지각합니다. 그리고 만약 사람들의 번영과 행복을 위해서, 세상에 대해 측은히 여기는 마음에서, 그리고 신들과 인간들의 이로움, 번영, 행복을 위해서, 세상에서 오해 (delusion : 자신이나 자신의 상황에 대한 잘못된 믿음이나 의견)에 빠지지 않는 존재로 올바르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이 누구라도 있다면, 이 말을 들어야 하는 것은 접니다.
My energy was roused up and unflagging, my mindfulness was established and lucid, my body was tranquil and undisturbed, and my mind was immersed in samādhi. Quite secluded from sensual pleasures, secluded from unskillful qualities, I entered and remained in the first absorption, which has the rapture and bliss born of seclusion, while placing the mind and keeping it connected. As the placing of the mind and keeping it connected were stilled, I entered and remained in the second absorption, which has the rapture and bliss born of immersion, with internal clarity and confidence, and unified mind, without placing the mind and keeping it connected. And with the fading away of rapture, I entered and remained in the third absorption, where I meditated with equanimity, mindful and aware, personally experiencing the bliss of which the noble ones declare, ‘Equanimous and mindful, one meditates in bliss.’ With the giving up of pleasure and pain, and the ending of former happiness and sadness, I entered and remained in the fourth absorption, without pleasure or pain, with pure equanimity and mindfulness.
나의 에너지(energy : 육체적 또는 정신적 활동과 일 등을 위해 필요한 힘, 노력, 열정)는 일어나 지치지 않았고, 나의 마음챙김은 확립되고 명료했으며, 나의 몸은 고요하고 방해받지 않았으며, 나의 마음은 삼매(samādhi)에 잠겼습니다. 감각적 즐거움에서 아주 멀리 떨어져 있고, 미숙한 성품들로부터 아주 멀리 떨어져서, 나는 첫 번째 몰두에 들어가 머물렀고, 거기서 떨어짐(seclusion : 사적이거나 다른 사람들과 거의 접촉하지 않는 상태. 은거)에서 태어난 황홀감과 더없는 기쁨을 가졌고, 동시에 일어난 생각이 있음을 알고, (생각을) 조사했습니다. 일어난 생각이 있고, (생각을) 조사하는게 고요해지자, 나는 두번째 몰두에 들어가 머물렀고, 거기서 몰입에서 태어난 황홀감과 더없는 기쁨을 가졌고, 내적 명료함과 확신이 함께 하고, 그리고 일어난 생각이 없고 (생각을) 조사하는 것이 없이 하나된 마음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황홀감이 사라짐과 함께, 나는 세 번째 몰입에 들어가 머물렀고, 그곳에서 나는 평정심과 현재 순간에 집중하고 알아차리는 명상을 했고, 고귀한 사람들이 '평정하고 현재 순간에 집중하고 알아차리며, 그는 더 없는 기쁨속에서 명상한다' 이렇게 선언한 더 없는 기쁨을 개인적으로 경험했습니다. 즐거움과 괴로움을 버림과 함께, 그리고 이전의 행복과 슬픔을 끝내고, 나는 네 번째 몰입에 들어가 머물렀고, 즐거움도 없고 괴로움도 없이, 순수한 평정과 마음챙김을 가졌습니다.
When my mind had become immersed in samādhi like this—purified, bright, flawless, rid of corruptions, pliable, workable, steady, and imperturbable—I extended it toward recollection of past lives. I recollected many kinds of past lives. That is: one, two, three, four, five, ten, twenty, thirty, forty, fifty, a hundred, a thousand, a hundred thousand rebirths; many eons of the world contracting, many eons of the world expanding, many eons of the world contracting and expanding. I remembered: ‘There, I was named this, my clan was that, I looked like this, and that was my food. This was how I felt pleasure and pain, and that was how my life ended. When I passed away from that place I was reborn somewhere else. There, too, I was named this, my clan was that, I looked like this, and that was my food. This was how I felt pleasure and pain, and that was how my life ended. When I passed away from that place I was reborn here.’ And so I recollected my many kinds of past lives, with features and details.
내 마음이—정화되고, 밝고, 흠잡을 때 없고, 오염을 없애고, 유연하고, 실행 가능하고, 안정되고, 흔들리지 않는—이와 같이 삼매(samādhi)에 몰두하게 되었을 때, 나는 그것을 이전 삶들에 대한 회상으로 확장했습니다. 나는 수많은 종류의 이전 삶들을 회상했습니다. 그건: 1번, 2번, 3번, 4번, 5번, 10번, 20번, 30번, 40번, 50번, 100번, 1천번, 10만번의 환생입니다; 세계의 영겁의 시간들이 수축하고, 세계의 영겁의 시간들이 확장하고, 세계의 영겁의 시간들이 수축하고 확장합니다. 나는 기억했습니다: '거기, 내 이름은 이러했고, 내 가문은 저러했고, 외모는 이러했고, 음식은 저러했구나. 이것이 내가 기쁨과 고통을 느끼는 방식이었고, 저것은 내 인생이 끝나는 방식이었구나. 그곳에서 내가 죽었을 때, 나는 다른 곳에서 다시 태어났구나. 그곳에서도 내 이름은 이러했고, 가문은 저러했고, 외모는 이러했고, 음식은 저러했구나. 이것이 내가 기쁨과 고통을 느끼는 방식이었고, 저것은 내 인생은 끝나는 방식이었구나. 그곳에서 내가 죽었을 때, 나는 다른 곳에서 다시 태어났구나.' 그렇게 나는 전생의 많은 종류의 모든 특징들과 세부 사항들을 기억했습니다.
This was the first knowledge, which I achieved in the first watch of the night. Ignorance was destroyed and knowledge arose; darkness was destroyed and light arose, as happens for a meditator who is diligent, keen, and resolute.
이것이 내가 그날 밤의 첫 번째 지켜봄에서 성취한 첫 번째 지식이었습니다. 무지가 파괴되었고 지식이 일어났습니다; 어둠이 파괴되었고 빛이 일어났고, 부지런하고 예리하고 단호한 명상가에게 일어나는 것과 같습니다.
When my mind had become immersed in samādhi like this—purified, bright, flawless, rid of corruptions, pliable, workable, steady, and imperturbable—I extended it toward knowledge of the death and rebirth of sentient beings. With clairvoyance that is purified and superhuman, I saw sentient beings passing away and being reborn—inferior and superior, beautiful and ugly, in a good place or a bad place. I understood how sentient beings are reborn according to their deeds: ‘These dear beings did bad things by way of body, speech, and mind. They spoke ill of the noble ones; they had wrong view; and they chose to act out of that wrong view. When their body breaks up, after death, they’re reborn in a place of loss, a bad place, the underworld, hell. These dear beings, however, did good things by way of body, speech, and mind. They never spoke ill of the noble ones; they had right view; and they chose to act out of that right view. When their body breaks up, after death, they’re reborn in a good place, a heavenly realm.’ And so, with clairvoyance that is purified and superhuman, I saw sentient beings passing away and being reborn—inferior and superior, beautiful and ugly, in a good place or a bad place. I understood how sentient beings are reborn according to their deeds.
내 마음이—정화되고, 밝고, 흠잡을 때 없고, 오염을 없애고, 유연하고, 실행 가능하고, 안정되고, 흔들리지 않는—이와 같이 삼매(samādhi)에 몰두하게 되었을 때, 나는 그것을 지각있는 존재들의 죽음과 다시 태어남에 대한 지식으로 확장했습니다. 나는 순수하고 초인적인 투시력(천리안)으로—열등한 것과 우월한 것, 아름다운 것과 추한 것, 좋은 곳이나 나쁜 곳에서—지각있는 존재들이 죽고 다시 태어나는 것을 보았습니다. 나는 어떻게 지각있는 존재들이 행위에 따라 다시 태어나게 되는지 이해했습니다: '이 귀한 존재들은 몸과 말과 마음으로 나쁜 짓을 저질렀구나. 그들은 고귀한 사람들을 나쁘게 말했고; 그들은 잘못된 견해를 가졌고; 그리고 그들은 그 잘못된 견해에서 나오는 행동을 선택했구나. 그들의 몸이 부서지고, 죽은 후에 그들은 상실의 곳, 나쁜 곳, 지하 세계, 지옥에서 다시 태어났다. 그러나, 이 귀한 존재들은 몸과 말과 마음으로 좋은 일을 했구나. 그들은 고귀한 사람들을 나쁘게 말하지 않았고; 그들은 올바른 견해를 가졌고; 그리고 그들은 올바른 견해에서 나오는 행동을 선택했구나. 그들의 몸이 부서지고, 죽은 뒤에 그들은 좋은 곳, 천상에 태어났다.' 그래서 이렇게, 나는 순수하고 초인적인 투시력(천리안)으로—열등한 것과 우월한 것, 아름다운 것과 추한 것, 좋은 곳이나 나쁜 곳에서—지각있는 존재들이 죽고 다시 태어나는 것을 보았습니다. 나는 중생이 그들의 행위에 따라 어떻게 환생하는지를 이해했습니다.
This was the second knowledge, which I achieved in the middle watch of the night. Ignorance was destroyed and knowledge arose; darkness was destroyed and light arose, as happens for a meditator who is diligent, keen, and resolute.
이것이 내가 그날 밤에 가운데 지켜봄에서 성취한 두 번째 지식이었습니다. 무지가 파괴되고 지식이 일어났습니다; 어둠이 파괴되었고 빛이 일어났고, 부지런하고 예리하고 단호한 명상가에게 일어나는 것과 같습니다.
When my mind had become immersed in samādhi like this—purified, bright, flawless, rid of corruptions, pliable, workable, steady, and imperturbable—I extended it toward knowledge of the ending of defilements. I truly understood: ‘This is suffering’ … ‘This is the origin of suffering’ … ‘This is the cessation of suffering’ … ‘This is the practice that leads to the cessation of suffering’. I truly understood: ‘These are defilements’ … ‘This is the origin of defilements’ … ‘This is the cessation of defilements’ … ‘This is the practice that leads to the cessation of defilements’.
내 마음이—정화되고, 밝고, 흠잡을 때 없고, 오염을 없애고, 유연하고, 실행 가능하고, 안정되고, 흔들리지 않는—이와 같이 삼매(samādhi)에 몰두했을 때, 나는 그것을 더러운 것(번뇌)의 끝남에 대한 지식으로 확장했습니다. 나는 진정으로 이해했습니다: '이것이 고통이구나' … '이것이 고통의 근원이구나' … '이것이 고통의 멈춤이구나' … '이것이 고통의 멈춤으로 이끌어주는 수행이구나'. 나는 진정으로 이해했습니다: '이것들이 더러운 것(번뇌)들이구나' … '이것이 더러운 것(번뇌)의 근원이구나' … '이것이 더러운 것(번뇌)의 멈춤이구나' … '이것이 더러운 것(번뇌)의 멈춤으로 이끌어주는 수행이구나.'
Knowing and seeing like this, my mind was freed from the defilements of sensuality, desire to be reborn, and ignorance. When it was freed, I knew it was freed.
이와 같이 아는 것과 보는 것으로, 나는 관능적인 더러운 것(번뇌)로부터, 다시 태어나고자 하는 욕구로부터, 그리고 무지로부터 나의 마음이 자유로워졌습니다. 자유로워졌을 때 자유로워진 것을 나는 알았습니다.
I understood: ‘Rebirth is ended; the spiritual journey has been completed; what had to be done has been done; there is no return to any state of existence.’
나는 이해했습니다: '다시 태어남이 끝났구나; 영적 여정이 완료되었구나; 해야 할 일이 끝났구나; 어떤 존재의 상태로도 돌아갈 수 없구나.'
This was the third knowledge, which I achieved in the final watch of the night. Ignorance was destroyed and knowledge arose; darkness was destroyed and light arose, as happens for a meditator who is diligent, keen, and resolute.
이것이 내가 그날 밤에 마지막 지켜봄에서 성취한 세 번째 지식이었습니다. 무지가 파괴되고 지식이 일어났습니다; 어둠이 파괴되었고 빛이 일어났고, 부지런하고 예리하고 단호한 명상가에게 일어나는 것과 같습니다.
Brahmin, you might think: ‘Perhaps the Master Gotama is not free of greed, hate, and delusion even today, and that is why he still frequents remote lodgings in the wilderness and the forest.’ But you should not see it like this. I see two reasons to frequent remote lodgings in the wilderness and the forest. I see a happy life for myself in the present, and I have compassion for future generations.”
브라만, 당신은 이렇게 생각할지도 모릅니다: '아마도 스승 고따마(Gotama)는 오늘날에도 탐욕(greed : 사람이 필요로 하는 것보다 더 많은 부, 소유, 권력 등에 대한 강한 욕망), 증오(hate : 누군가, 무언가를 몹시 싫어하는 것), 그리고 오해(delusion : 자신이나 자신의 상황에 대한 잘못된 믿음이나 의견)에서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에, 그래서 여전히 광야와 숲 속의 외딴 곳에서 자주 임시로 거주하는 것이다.' 하지만 당신은 이렇게 보면 안됩니다. 나는 광야와 숲 속의 외딴 곳에서 자주 임시로 거주하는 것에서 두 가지 이유를 봅니다. 나는 현재의 나 자신의 행복한 삶을 보고, 미래 세대에 대해 측은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니다."
“Indeed, Master Gotama has compassion for future generations, since he is a perfected one, a fully awakened Buddha. Excellent, Master Gotama! Excellent, Master Gotama! As if he were righting the overturned, or revealing the hidden, or pointing out the path to the lost, or lighting a lamp in the dark so people with good eyes can see what’s there, Master Gotama has made the teaching clear in many ways. I go for refuge to Master Gotama, to the teaching, and to the mendicant Saṅgha. From this day forth, may Master Gotama remember me as a lay follower who has gone for refuge for life.”
"실로 고따마(Gotama) 스승님은 완전한 자, 완전히 깨달은 부처님이기 때문에 미래 세대에 대해 측은히 여기는 마음이 있습니다. 훌륭합니다, 고따마(Gotama) 스승님! 훌륭합니다, 고따마(Gotama) 스승님! 넘어진 자를 바로 세우거나, 숨겨진 것을 드러내거나, 길 잃은 자에게 길을 가르쳐주거나, 어둠 속에서 등불을 켜서 눈이 좋은 사람이 거기 있는 것을 볼 수 있도록 하듯이, 고따마(Gotama) 스승님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가르침을 분명하게 하셨습니다. 나는 고따마(Gotama) 스승님과 가르침과 수행자 상가(Saṅgha, 공동체)에 귀의합니다. 오늘부터 고타마 스승님께서는 저를 평생의 피난처를 찾아간 한명의 신자로 기억해 주시기 바랍니다."
두려움과 공포속에서, 부처님이 깨닫게 된 방법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이것이 저 두려움과 공포가 오는 것인가?'
- 그러고 나서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왜 나는 저 두려움과 공포가 다가올 것을 예상하면서 항상 명상을 하는걸까? 저 두려움과 공포가 있자마자, 없애버리고 내가 있던 그대로 있는 건 어떨까?'
- 그러고 나서 내가 걷고 있을 때 저 두려움과 공포가 나를 엄습했습니다. 저 두려움과 공포를 없앨 때까지 나는 걸었고, 가만히 서 있거나 앉거나 눕지 않았습니다.
두려움과 공포 뿐만이 아니라, "일어난 생각"을 모두 이렇게 '예상'하는게 아니라, '있자마자, 없애버리는 것' 이렇게 다루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래 팔리어를 한글로 번역한 글과 번갈아 보면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MN004. 두려움과 공포 경[Bhayabheravasutta]
004. 두려움과 공포 경[Bhayabheravasutta]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에 세존께서 싸밧티의 제따 ...
blog.naver.com
두려움과 공포 경(M4)
Majjhima Nikāya, mūlapaṇṇāsapāḷi, 1. mūlapariyāyavaggo, 4. bhayabheravasuttaṃ n (MN 4)...
blog.naver.com
728x90'적당한 길이의 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MN6) 깨끗하고 빛나는 바램 (1) 2023.02.24 (MN5) 마음 속 결점 그리고 부패한 마음 (0) 2023.02.23 (MN3) 물질적인 것의 상속자 vs. 가르침의 상속자 (0) 2023.02.22 (MN2) 모든 더러운 것(번뇌)을 멈추는 방법 (0) 2023.02.21 (MN1) 만물의 근원 (0) 2023.02.19